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양재를 R&CD 거점으로"…기업들, 너도나도 동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서울시·서초구·강남구, 대규모 연구단지 조성
-LG·KT 연구시설 확대…코트라 일부 임대
-용적률 완화·특허법 특례 등 사업혜택 쏠쏠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서울시와 서초구·강남구가 양재동 일대를 협업형 연구개발(R&CD) 특구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기업들이 '연구개발(R&D) 거점 만들기'에 발 벗고 동참하고 있다. 기존 연구센터를 통합·확장하거나 건물 일부를 연구 공간으로 내주기로 한 것이다.

27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양재 R&CD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 추진과 관련, LG와 KT가 우면동에 있는 기존 연구센터를 확대하기로 했다. 특화사업자로서 누릴 수 있는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을 십분 활용하는 전략이다.


특화사업자로 지정되면 출입국관리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특허법 등에 관한 특례를 받는다. 외국인 연구자의 고용 추천서 발급 절차가 간소화되고 특화 사업을 위한 용적률·건폐율 완화,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 심사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이에 LG전자는 기존 양재 R&D 캠퍼스를 '미래전자 R&D 캠퍼스'로 탈바꿈시키기로 했다. 자동차 부품, 에너지 분야 R&D 기능을 양재 R&D 캠퍼스로 이관하는 방식이다. LG전자 양재 R&D 캠퍼스 옆에 위치한 KT의 연구개발센터도 용적률 150% 혜택을 받고 신축, 확장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KT 관계자는 "서초구와 함께 연구시설 확장, 증축을 검토 중"이라면서도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코트라(KOTRA)는 서초구청에 양재 R&CD 관련 특화사업자 지정 신청을 했다. 서초구청 관계자는 "코트라의 경우 심의를 거쳐 특화사업자로 지정될 것"이라면서 "앵커(핵심)시설을 짓고 일부를 연구 공간으로 임대하는 계획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특화사업자는 아니지만 공공기여를 통해 건물 일부를 기업 육성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교총은 협회 건물 1·5·6·8층, 2900㎡ 규모를 기업 육성 공간으로 빌려줄 방침이다. 현재 교총 건물 내 사무실은 보증금이 3.3㎡당 45만원, 월 임대료는 3.3㎡당 4만5000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재 R&CD 특구는 총사업비 4752억원을 들여 300여개의 기업 연구소가 몰려 있는 양재동, 우면동, 개포동 일대 378만㎡를 R&D 거점으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가 R&D 거점으로 키우고 있는 마곡지구(366만㎡)보다 크다.


시와 서초구, 강남구는 2021년까지 특구를 4개 권역으로 나눠 기업 간 공동개발, 산·학·연 연계,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지원 등 20개 세부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LGㆍKT의 연구센터, 교총이 위치한 지역기반상생권역에서는 규제 특례와 특화 사업을 통해 연구 공간을 확충하고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혁신 허브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업으로 여의도 63빌딩의 4.5배에 달하는 75만㎡ 규모의 연구 공간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4월 말 중소기업청에 양재 R&CD 특구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