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세계가 5G 올인하는 판에 통신비 인하라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미래부, MWC 2017 간담회 개최
산업계·전문가와 ICT 트렌드·발전방향 공유
기업들, 규제개혁과 체계적인 지원 요청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정보통신기술(ICT) 경연의 장에서 활약을 펼친 국내기업들과 관련부처가 한자리에 모여 올해 MWC의 의미를 평가하고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가 열렸다. 산업계에서는 5G·VR 등 미래형 기술의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주문했고, 정부도 규제혁신 등 긍정적인 신호를 내놨다.

"전세계가 5G 올인하는 판에 통신비 인하라니…" 미래창조과학부가 14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대회의실에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 간담회' 를 개최했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 참석했던 산업계 및 전문기관 관계자들과 자유토론 하고 있다.
AD



미래창조과학부는 14일 미래부 대회의실에서,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이하 MWC) 2017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MWC 2017 트렌드와 관련하여 주요 이슈를 산업계·전문가들과 공유하고, ICT 정책 현황 등을 점검하여 앞으로의 ICT 생태계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이재학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동통신 CP는 "MWC 2017 트렌드를 진단해보면, 5G, IoT, AI 등 핵심 기술의 발전과 가격 경쟁력 확보로 지능정보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제품 서비스 개발 단계로 진일보 했다"고 말했다. 또 "ICT와의 융합 확산으로 기술·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파괴적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응해 산업계 스스로의 노력은 물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과 함께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최재유 차관은 "MWC 2017에서 5G를 기반으로 한 지능정보사회가 가져올 획기적인 변화들이 이미 눈앞의 현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향후 국가 미래는 이러한 지능정보사회로의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잘 대처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WC의 핵심화두였던 5G에 대해, 기업간 협력은 물론 정부지원 등 체계적인 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데 참가자 모두가 공감했다. 박명순 SK텔레콤 미래기술원장은 "5G에 인프라산업이다. 다양한 산업적·기술적 기반요소가 융합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결코 혼자서 하는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영익 KT CR지원실 실장은 정부와 국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사업자들이 5G를 위해 대규모 투자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선거를 앞두고 기본료 인하 문제 등 포퓰리즘 정책들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5G의 성공를 위해서는 요금인하를 주장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한국이 세계최초로 5G를 개통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먼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우람찬 LG유플러스 MC사업본부 상무는 5G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얘기했다. "3G에서 4G로 넘어갈 때는,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가 그대로 존재했다. 그러나 4G에서 5G로 넘어갈 때도 그럴까. 스마트카, 셋톱박스, 웨어러블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경쟁할 수 있다. 고민의 깊이는 물론 폭도 달라졌다"고 말했다. 이어 "5G의 상용화 시기 예측이 어려운 것도그래서다. 단순 시연인지 양산이 되는 것인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이번 MWC 운영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글과컴퓨터 이원필 대표는 "이번 MWC에서 느낀 것 중의 하나는, '한국관에는 왜 이렇게 사람이 없을까 라는 것이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한 외국인이 내게 묻더라. 한국은 10개국으로 참가했냐고. 즉, 한국기업 홍보관이 이곳저곳에 흩어져있다는 말이었다. 고객의 언어도 국적도 저마다 다른데 그런 점에 대한 대비도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이나 스페인의 경우 정부 차원의 조직적 운영이 돋보였다. 자국 기업들이 대체로 한 곳에 모여있으면서, 필요한 통역도 적시에 제공했다"며 "한국도 이제 뿔뿔이 흩어지지 말고 한데 모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