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 파면]온기 돌던 주택시장, 관망세 짙어질듯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조기 대선에 4~5월 분양일정 줄줄이 연기 조짐
-회복 기미 보이던 기존 주택시장도 관망세 유지할듯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지난해 11·3 부동산 대책 여파로 움츠러들었던 주택시장이 대형 정치 이벤트에 또 다시 숨을 죽이고 있다. 조금씩 봄기운이 감도는 듯 했지만 5월 '벚꽃대선'이 확정되면서 새 아파트 분양 계획이 줄줄이 미뤄지는 모양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회복 기미를 보이던 기존 주택시장도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평균 0.01% 올랐다. 지난해 12월12일 이후 12주 만에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서울시의 경우 강남 재건축 단지가 아파트값을 끌어올리며 0.04% 상승,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분양시장에도 온기가 퍼지고 있다. 이달 들어 청약을 받은 14개 단지 중 8개 단지가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지난 1~2월에는 1순위 마감 단지가 27.5%에 그쳤다. 이에 화답하듯 건설사들도 3월 분양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2월(8927가구)보다 5배나 많은 4만7000여가구의 분양 계획이 잡혀있다. 올 초 청약시장이 위축된 탓에 1~2월 분양 예정이었던 물량이 밀린 데다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일정을 앞당긴 물량도 더해진 결과다.

그러나 조기 대통령 선거가 현실이 되자 건설사들은 또 다시 고민에 빠졌다. 분양 마케팅이 대선 이슈에 묻힐 가능성이 높아서다. 분양이 대선 국면과 맞물릴 경우 관심도 분산으로 홍보나 모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때문에 일부 건설사는 분양 일정 조율에 나서고 있다. 분양 대행사 관계자는 "대선으로 사실상 한두 달 동안 분양 현수막 마케팅이 막힌다"면서 "현재 계획대로 4~5월 분양 일정을 진행하는 곳도 있지만 일부는 3월로 당기거나 5~6월 이후에 본격적인 분양을 진행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5월 초 대선에 따라 분양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당초 4월 물량은 월 초로 당기거나 5월 중하순으로 미루고 5월 물량은 대선 이후인 하순께로 하는 식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도 "대선과 분양 일정이 겹치지 않게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당장 주택시장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겠지만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차기 정권의 주택·부동산 정책 방향이 문제다. 유력 대선주자들이 보유세 개편 등 보수적인 부동산 공약을 내세우고 있는 만큼 시장 전망이 어둡기 때문이다. 향후 이들 공약이 가시화될 경우 관망세는 더욱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대선주자들의 공약을 보면 기존과는 다른 주거정책으로 가지 않겠느냐"며 "부동산 시장에 안정과 불안정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당분간 대선 정국에서 수요자 관망세는 짙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선주자들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한다"면서 "공급과잉 이슈도 있는 만큼 관망세로 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도 "정부의 11·3 대책, 공급과잉 이슈에 금리인상,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등 대외적 변수까지 더해지면서 꺾인 심리가 상당기간 갈 것 같다"며 "대선주자들의 부동산 정책이 마이너스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불확실성이 걷혀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돌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정치적인 부분이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결정적인 것은 대출규제 등 금융 부분"이라며 "불확실성이 걷힌다는 점에서 실수요자와 투자자의 움직임이 지금보다 활발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도 "주택 가격이나 청약 성패는 입지와 상품에 따른 영향이 커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