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계부채 1344조…3개월새 48조 늘어 '사상 최대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한은 작년 4분기 가계신용 발표
정부 대책 '무색'…2금융권서 가계대출 13.5조 늘어 '역대 최대'


가계부채 1344조…3개월새 48조 늘어 '사상 최대폭' 자료:한국은행
AD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가계부채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작년 말 1344조원을 기록했다. 정부의 각종 미시대책에도 증가폭은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권을 중심으로 가계 빚 줄이기에 돌입하면서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13조원 넘게 폭증하는 등 '풍선효과'가 여실히 드러났다.


한국은행은 작년 4분기 말 가계신용이 13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가계신용 잔액은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치다. 가계신용은 가계의 빚을 나타내는 통계로,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공적금융기관 등 금융회사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액과 할부금융 등 판매신용을 모두 합한 금액이다.

가계신용의 증가세는 눈에 띄게 가팔라지고 있다. 전분기(1296조6000억원)보다 47조7000억원(3.7%)이 늘었는데, 이 역시 통계 집계 이래 최대다.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은 11.7%로, 2006년도 4분기(11.8%) 이후 두 번째로 컸다.


가계신용에서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의 경우 잔액이 1271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2조9000억원(3.5%)이 늘었다. 정부가 지난해 초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에 이어 8월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 각종 미시대책을 쏟아냈지만 가계 빚 증가세는 여전히 공고한 것 모습이다.


가계부채 1344조…3개월새 48조 늘어 '사상 최대폭' 자료:한국은행


특히 제2금융권으로 대출 희망자들이 옮겨간 '풍선효과'는 더욱 뚜렷해졌다.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농협,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13조5000억원(4.9%)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호금융(5조6000억원)과 새마을금고(4조7000억원)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보험기관, 공적금융기관, 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 역시 같은 기간 15조9000억원(4.6%)이 늘어 증가폭을 키웠다. 기타금융기관의 경우 주택금융공사의 양도분과 주택도시기금의 취급분 합친 금액(6조3000억원)이 공적금융기관과 기타금융중개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에 나뉘어 포함된 영향이 컸다.


반면 여신심사 선진화 방안 등 각종 대책이 집중됐던 예금은행은 증가폭이 13조5000억원(2.2%)으로 전분기(17조2000억원)보다 줄었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대출금리가 높아진데다, 자체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선 점도 증가세를 둔화시킨 요인이다.


한편 판매신용은 72조7000억원으로 4조8000억원(7.1%) 증가했다. 크리스마스와 새해를 대비한 이른바 '연말효과'로 카드사용액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