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黃권한대행, NSC 아닌 상임위 선택한 까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권한대행 상임위 주재 놓고 확인전화 쇄도하기도

NSC상임위는 안보실장이 통상 주재
사안 감안할 때 상징적 의미 적어 선택한 듯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대통령 권한대행인 황교안 국무총리가 15일 북한 김정남 피살을 포함한 북한 동향을 논의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상임위를 소집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통상 NSC는 대통령급이, NSC상임위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황 권한대행이 NSC상임위를 주재한 것은 지난해 12월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 때문에 이날 오전 황 권한대행 측이 출입기자들에게 '황 권한대행이 NSC상임위 참석한다'는 문자메시지를 전하자, '권한대행이 상임위를 주재하는 게 맞냐'는 문의전화가 쇄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권한대행의 NSC 상임위 주재가 관심을 모으는 것은 무게감이 다르기 때문이다. NSC는 대통령이 주재하고 국무총리와 국가정보원장, 통일·외교·국방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장(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등 8명으로 구성된다.


반면 NSC상임위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위원장을 맡고 대통령 비서실장, 외교·국방·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한다.


황 권한대행은 지난해 9월 9일 박근혜 대통령이 라오스를 공식방문하는 동안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강행하자 긴급NSC를 주재했고 지난해 12월 박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직후에도 NSC를 개최한 바 있다.


황 권한대행이 NSC가 아닌 상임위를 소집한 배경은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다만 황 권한대행 측 관계자는 이날 NSC상임위 개최와 관련해 "권한대행이 직접 NSC상임위를 주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NSC보다 한단계 낮은 상임위를 황 권한대행이 직접 선택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여론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 12일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이후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NSC상임위가 열리자 '대통령 권한대행이 NSC도 열지 않았다'는 비판여론을 감안했다는 것이다. 황 권한대행 측은 당시 NSC를 소집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북한의 도발 수위가 NSC를 열 정도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지만 비판은 가라앉지 않았다.


여기에 김정남 피살이라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NSC 보다 상징적 의미가 덜한 상임위를 소집하는 쪽으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정부 내부에서는 김정남 피습사건이 알려진 직후 "NSC를 열 정도의 사안은 아닌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남 피습 직후 청와대와 정부의 초기대응에서도 NSC 개최는 비중있게 검토되지 않았다. 청와대 등은 NSC 개최와 관련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전날 언론보도 등을 통해 피살소식이 알려진 직후 NSC 개최 여부에 대해 "현재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