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후 한詩]은빛 햇살/이건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1초

무르팍쯤 바지 걷어 올리고
도랑물에 들어가면
겨우내 얼음장 밑
돌미나리 숲에 기대 살던,
여윈 송사리도 피라미도
보겠네,
얼음장 밑에서 겨울 다 견뎌 낸
작은 목숨들이 은빛 비늘 파르르
몸을 옮기겠네,
송사리도 피라미도
얼음 풀린 도랑에서 몸을 옮기며,
은빛 비늘
봄 햇살을 되비춰 내는
반짝, 반짝 되비춰 내는
은빛 햇살을 보겠네.


[오후 한詩]은빛 햇살/이건청
AD


■ 시인은 한겨울에 봄을 옮겨 적는 사람이다. 시인은 한겨울에 봄을 옮겨 적기 위해 짱짱하게 언 도랑물 속으로 주저 없이 "바지 걷어 올리고" 들어서는 사람이다. 그래서 시인은 "돌미나리 숲에 기대 살"고 있는 "여윈 송사리도 피라미도" 마음을 다해 품는 사람이다. 그 따뜻한 온기로 "송사리도 피라미도"도 "얼음장 밑에서 겨울"을 견디는 것이다. 시인은 모름지기 그러하고 그러해야 하는 사람이다. 한겨울에 만난 이 시는 눈 맑은 시인이 저 봄날 "얼음 풀린 도랑에서" 미리 길어 올린 것이기도 하겠지만, 엄동설한 속에서 "은빛 햇살"을 "파르르" 끌어당겨 제 안에 새기고 안은 바이기도 할 것이다. "보겠네"에 쓰인 선어말어미 '-겠-'은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주체의 의지를 뜻하기도 한다. 그런 맥락에서 이 시는 한겨울 속에서 "봄 햇살을 되비춰 내는" "은빛 햇살"을 싹틔우고자 하는 결곡한 마음의 생동인 것이다. 시는 미래를 선취하는 예지이자 현재 속에서 미래를 가동하는 실천이다.


채상우 시인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