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직기간, 13개월 넘어가면 '불안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신입직 13개월, 경력직 7개월 넘어서면 '불안'
남성보단 여성이, 고학력자일수록 불안감 ↑
61%가 비정규직도 '불사'… 연봉과 직무가 더 중요


구직기간, 13개월 넘어가면 '불안해'
AD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구직자들의 상당수가 구직기간이 1년을 넘어설 경우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아르바이트포털 알바몬과 함께 구직자 17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31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들이 안정되게 취업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적정 구직기간은 신입직의 경우 평균 13.2개월, 경력직의 경우 평균 7.5개월이었다.


늦어도 이 기간 내에는 취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구직 기간 '마지노선'은 적정 구직기간보다 평균 8개월가량 길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신입직과 경력직의 구직 마지노선은 각각 21.9개월, 13.9개월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이 같은 취업 마지노선에 대한 불안감은 남성(70.9%)보다 여성(77.9%)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학력이 높을 경우에도 빠른 기간 내에 취직에 성공해야 한다는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고졸 이하 학력 구직자의 경우(72.3%)와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구직자(82.8%)는 10%포인트(P) 이상 차이를 보였다.


조사 대상 구직자의 82.2%가 이력서 상에 일정기간 공백이 생길 경우 취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대답했다. 때문에 이들 중 상당수는 '백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노력했다.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을 구한다는 이들이 43.8%로 가장 많았으며, 휴학 또는 졸업 유예를 선택하겠다는 이들도 20%에 달했다. 그 밖에 '학원수강 등 공백기를 설명할 수 있는 이유를 만들겠다'(11.2%), '인턴'(3.9%), 대학원진학 등 학생 신분 유지 (2.9%) 등이 있었다. 반면 '딱히 노력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8%에 달했다.


한편 많은 구직자들이 취업을 위해 비정규직도 불사하겠다면서도 연봉과 직무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사에 응답한 구직자의 61.1%가 '취업만 된다면 비정규직으로도 일할 수 있다'고 답했다. 다만 '취업만 된다면 내가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이 아니어도 된다'는 응답은 41.6%로 절반을 밑돌았다.


이재학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장은 "취업난이 장기화되고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정규직으로 오래 일하기보단 원하는 직무를 중심으로 희망하는 근무조건을 맞춰 취업하는 것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