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重, 올 들어 두번째 수주..2700억원 규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삼성重, 올 들어 두번째 수주..2700억원 규모 삼성중공업이 2009년 호그LNG사에 인도한 14만5000㎥급 FSRU.[사진=삼성중공업]
AD


-노르웨이 호그LNG와 17만㎥급 FSRU 1척 건조계약 체결
-LNG 7만톤 저장·공급하는 설비, 옵션 3척 추가 수주도 기대돼
-육상 시설 대비 경제성 뛰어난 FSRU에 대한 수요 증가 전망
-신흥국 중심으로 2020년까지 매년 4~5척의 FSRU 신규 수요 예상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삼성중공업이 이달 초 대형 해양플랜트 건조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수주에도 성공했다. 올 들어 두번째 수주 실적을 거둔 것이다.


삼성중공업은 18일 노르웨이 호그LNG사로부터 17만㎥ FSRU 1척을 약 2700억원(2.3억달러)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FSRU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기화한 뒤 육상의 소비처에 공급할 수 있는 선박 형태의 설비다.

이번에 수주한 FSRU는 한국의 1일 LNG 소비량에 해당하는 약 7만톤의 LNG를 저장하는 규모다. 납기는 2019년 5월까지다. 이번 계약에는 FSRU 3척의 옵션도 포함돼 있어 삼성중공업의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


FSRU는 육상에 LNG 수입터미널을 건설할 때 보다 경제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발전·산업용 가스 수입을 확대하고 있는 중동과 동남아, 중남미 지역 신흥국을 중심으로 매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육상 터미널을 건설하는 데 통상 4~5년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FSRU는 건조 기간이 2~3년에 불과하다. 건조 비용도 육상터미널 건설 비용의 절반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2020년까지 매년 4~5척의 FSRU 신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앞으로 FSRU 발주가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고객 요구를 반영한 선형과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