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소재부품 수출 2519억 달러…전년比 4.8%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지난해 우리나라 소재ㆍ부품 수출 규모가 1년 전보다 4.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2016년도 소재ㆍ부품 교역동향을 집계한 결과 수출 2519억 달러(-4.8%), 수입 1525억 달러(-4.5%), 무역흑자 994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소재 분야는 화학제품, 금속, 고무, 플라스틱, 섬유 등을 아우르며, 부품 분야에는 전자, 수송기계, 전기, 정밀기기, 컴퓨터 부품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소재ㆍ부품 수출은 전년보다 4.8%(-127억 달러) 감소한 반면, 수출입 증감률은 2016년 11월 이후 회복세를 시현해 20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총 수출 중 소재ㆍ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50.8%로 연도별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대(對)중국 수출액이 전년 보다 11.5% 감소하는 등 하락세가 지속했다. 반면, 아세안(8.9%), 일본(3.2%) 등은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대부분 품목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고무ㆍ플라스틱(3.5%), 전기기계부품(3.5%), 컴퓨터ㆍ사무기기(12.3%) 등 일부 품목은 증가했다. 전자부품은 중국의 중저가 휴대전화 업체의 성장, 메모리 반도체 단가 하락 등으로 수출 실적 부진했다.


지난해 소재ㆍ부품 수입은 1525억 달러로 같은 기간 총수입(4060억 달러)의 38.2%를 차지했다.


유럽(-14.6%), 중국(-8.2%)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입이 감소했으나, 아세안 중 베트남(37.9%)과 일본(3.1%)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 1차금속(-12.2%), 전자부품(-6.1)등 대부분의 수입이 감소했으나, 수송기계부품(21.7%), 컴퓨터ㆍ사무기기부품(18.9%)은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소재ㆍ부품은 수출 663억 달러(2.0%), 수입 397억 달러(1.7%), 무역흑자 266억 달러(6.3%)를 기록했다. 4분기 들어 수출입ㆍ무역수지가 모두 플러스로 전환됐고, 특히 소재 무역수지는 2016년 들어 4분기 연속 증가했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첨단 신소재ㆍ부품 기술 개발, 미래형 소재ㆍ부품 인프라구축, 글로벌 파트너링(GP) 사업 확대 등을 적극 지원해, 올해 수출 플러스 전환과 무역 흑자 1000억 달러 달성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