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허청, 4차 산업혁명 ‘핵심 특허’ 확보에 177억원 투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올해 특허청은 중소·중견기업 IP-R&D 전략지원에 총 177억원을 투입, 지원 대상 기업을 확대하고 4차 산업혁명 핵심 특허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특허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7년 IP-R&D 전략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확정해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IP-R&D 전략지원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지재권을 경쟁력으로 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별 특허전략을 밀착 지원하는 내용으로 추진된다. 지재권전략전문가와 특허분석기관으로 전담팀을 구성, IP분석으로 경쟁사와의 특허경쟁에 대응하고 R&D 방향 제시, 우수특허 창출 등을 돕는 형태다.


실제 특허청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2015년 IP-R&D 전략을 지원받은 R&D과제는 지원을 받지 않은 과제보다 우수특허 또는 해외특허 비율이 2배~6배에 달했고 R&D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도 월등히 높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특허청은 올해 177억200여만원의 예산(전년대비 9%↑)을 들여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특허중심의 IP전략지원) 사업과제 185개 ▲글로벌 기술혁신 IP 전략개발(제품 중심의 특허·디자인·브랜드 전략지원) 사업과제 43개 등 총 228개(전년대비 25개 과제↑) IP-R&D 과제를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분석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에 대한 지원에 초점이 맞춰진다. 이는 2010년~2015년 핵심 분야의 전 세계 특허수가 12배가량 증가하는 등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한 IP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결과다.


더불어 특허청은 ‘글로벌 기술혁신 IP 전략개발’로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연결’과 ‘융합’을 구현할 수 있도록 주력한다. 또 제품의 IP(특허·디자인·브랜드) 전략에 국한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ICT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BM) 특허 또는 사용자경험(UX/UI) 관련 특허·디자인을 IP 전략지원 대상에 포함한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지식재산전략원의 IP-R&D 사업관리시스템(ippro.kista.re.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상반기 신청 접수기간은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사업 1월 16일까지, 글로벌 기술혁신 IP 전략개발 사업 1월 31일까지다.


특허청 김태만 산업재산정책국장은 “특허청은 그간 IP-R&D 전략 지원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특허소송 승리, 원천특허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진출 등의 성과와 사례를 남겨왔다”며 “앞으로는 우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IP전략지원을 다양화하고 강화해 나가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