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두 동강 난 새누리당의 운명은 어디로 향할까.
지난 9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이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면서 후폭풍에 직면한 새누리당의 행보를 놓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당수 친박(친박근혜) 의원들이 찬성표에 힘을 보탠 것으로 알려졌지만 '새누리호'는 당분간 친박 주도의 정당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 표결 뚜껑 열어보면 '친박 이탈' 의외로 적어= 이는 새누리당 비주류가 주도권을 쥐고 발전적 해체 작업에 돌입할 것이란 세간의 예상과는 다소 배치되는 것이다. '폐족'으로 가는 속도를 되도록 늦추면서 기득권을 유지하려던 친박 핵심부의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 핵심은 '보수 대통합'이란 기치다. 이 깃발아래 모인 친박이 무늬만 바꿔 기득권을 유지할 것이란 시나리오가 제기된다.
이 같은 시나리오는 박 대통령 탄핵안 가결 과정에서 수치적으로 어느 정도 입증됐다. 새누리당이 심리적으론 이미 '분당'이나 '해체'에 돌입했지만, 물리적으로는 쉽사리 기존의 구심점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11일 새누리당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는 회동을 갖고 친박 지도부의 즉각 사퇴를 거듭 요구했다. 반면 친박 지도부는 이튿날 최고위원 간담회를 갖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다음 주 중 주류·비주류는 비대위원장 선임을 놓고 날선 조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줄타기 같은 아찔한 힘겨루기만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정치권에 따르면 탄핵안 가결 직후 27명의 친박 의원들이 막판 찬성 쪽으로 기울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야당과 무소속 의원 172명이 모두 탄핵에 찬성했다는 가정 아래 탄핵 찬성 대오에 합류한 여당 의원은 62명으로 추산됐다. 표결에선 찬성표를 던진 의원이 234명에 이르렀다.
표결 당일 오전 비박(비박근혜)계는 35명의 여당 비주류 의원이 탄핵에 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62명 중 비주류 35명을 제외한 주류 친박 27명이 찬성표를 행사했다는 추산은 이렇게 나왔다.
◆친박 지도부 동조세력, 과반 훨씬 넘는 최소 70명= 반면 불참·기권으로 직접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힌 여당 의원은 59명에 이른다. 무효표를 던진 7명 의원도 대부분 의도적으로 표결을 무효화했다. 이들 모두를 탄핵 반대 세력으로 볼 수 있다. 128명의 여당 의원 중 과반이 조금 넘는 66명은 친박 지도부와 행보를 같이 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여기에 찬성표를 던진 일부 친박 의원들도 비박계의 재창당 혁신 주장에 동조하기보다는 촛불민심에 정치생명이 위협받는 걸 두려워해 눈치보기 끝에 '보신용'으로 투표에 임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여권 내 자체 분석도 비슷하다. 비박계 35명 외에 투표에 임할 때까지 침묵하던 10여명의 다른 비박 의원과 10여명의 친박 의원들이 공조했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친박의 이탈표가 적었다는 주장이다.
애초 새누리당 지역구 의원 111명 가운데 친박은 64명, 비박이 47명으로 분류된다. 비례대표인 17명은 친박 지도부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1~2명을 제외하곤 대부분 친박이다.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낙점에 친박계의 입김이 작용했던 탓이다.
이 같은 당내 역학구도는 2012년 이후 주류였던 친박이 '폐족'의 길로 접어드는 시간을 상당히 늦출 것으로 보인다.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친박이 쉽게 당 운영의 주도권을 내주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 가능하다.
◆임기 3년4개월여 남긴 20대 국회, 헤쳐모여 쉽지 않아= 이번 탄핵안 가결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통과된 2004년 3월의 16대 국회와도 상황이 다르다. 당시에는 차기 총선을 불과 한 달 가량 앞둔 막바지 국회였던 반면 이번 20대 국회는 다음 총선까지 무려 3년4개월여 임기를 남겨뒀다.
이에 따라 압도적인 탄핵안 가결로 두 동강 난 새누리당도 셈법이 복잡해졌다. 당이 재창당을 위한 해체 국면이나 분당 사태를 맞게 되면 다수 의원들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헤쳐모여가 용이한 임기 말 국회가 아니어서 대규모 탈당이 결행되기도 어렵다.
무엇보다 17명의 비례대표들은 의원직 유지를 위해 좋든 싫든 기존 새누리당에 그대로 적을 둬야 한다.
또 친박 성향이 강한 여당 초·재선 그룹 83명 중 상당수는 친박 지도부와 끝까지 운명을 같이 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탄핵안 표결 전 "지역 민심을 따르겠다"고 했으나 마지막까지 극심한 눈치보기를 이어갔다.
이들 가운데 막판까지 고심한 의원만 50명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대다수는 지난 4ㆍ13총선에서 친박 지도부의 입김에 따라 공천을 받았다.
주도권을 찾아오지 못한 비주류는 결국 당을 박차고 나가야 할 수 있다. 하지만 '외통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쉽사리 이 카드를 빼들기 힘든 이유다. 무려 6개월 이상 앞당겨진 내년 대선 정국을 앞두고 보수우익의 분열은 곧바로 패배를 뜻한다.
새누리당의 핵분열은 이미 시작됐다는 평가다. 여당 관계자는 "탄핵안 가결은 친박과 비박의 경계만 더욱 명확히 구분시켰을 뿐 당분간 어떤 양상으로 여당 내 정계개편을 끌어갈지 불명확하다"고 분석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