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추석후 주목받는 3인]대권시계 태엽감는 潘ㆍ孫ㆍ安의 인맥 분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추석연휴 직후 潘ㆍ孫ㆍ安의 대권 행보에 가속
이들의 대권행보 따라 여야 대선 지형도 요동
▲潘 = 조기 귀국, 여당 경선 합류 전망
여권의 제3지대론 위축
▲孫 = 지난 총선 때 더민주·국민의당으로 인맥 양분,
어느 한 쪽 택하기보다 제3지대 구축에 매진
▲安 = 인맥지도에선 여전히 아웃사이더,
플랫폼 정당 통한 제3지대 구축에 정진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과 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의 가시화된 대권 행보는 여야 대선 지형도에 미묘한 온도차를 빚어내고 있다.

[추석후 주목받는 3인]대권시계 태엽감는 潘ㆍ孫ㆍ安의 인맥 분석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AD


◆반 총장 조기 귀국하면 여권 제3지대 붕괴= 19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대선주자 지지율 선두인 반 총장의 내년 1월 귀국과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여당 전당대회 조기 합류는 여권의 '제3지대론'을 무력화시킬 전망이다. 유력 여권 후보로 분류되는 반 총장이 일찌감치 새누리당의 대선 후보군에 공식 합류할 경우, 여당 내 비박(비박근혜) 대선주자들이 당 밖에서 헤쳐 모일 명분과 추동력을 잃기 때문이다.

여당으로선 '전대 변수'를 상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반 총장이 귀국 직후 어느 정도 대국민 행보를 이어갈지, 새누리당에 곧바로 입당할지에 대해선 여당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조기 귀국이 새누리당 경선 참여를 뜻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거의 없는 상태다.


반면 조만간 이뤄질 손 전 고문의 하산은 야권의 다양한 후보군에게 일종의 메시지를 전할 것으로 보인다. 각양각색 잠룡들의 이합집산을 부추기면서, 동시에 야권의 제3지대론에 탄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대선 출마를 선언한 안 전 대표는 이날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의당 외부 경선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뒀다"며 다시 야권의 제3지대론에 불을 댕겼다. 이들 '3인의 잠룡들'이 대권을 향해 잰걸음을 걸으면서 회의론에 봉착했던 야권의 제3지대론도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추석후 주목받는 3인]대권시계 태엽감는 潘ㆍ孫ㆍ安의 인맥 분석 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


◆조직력이 관건, 인맥은 승부를 가름= 이런 가운데 추석연휴 직후 주목받는 3인의 잠룡들은 또 다른 과제를 안게 됐다. 이렇다할 조직력이 없는 만큼 빠른 시간 안에 이를 만회해야 하는 것이다.


정작 승부를 가름할 변수는 인맥이다. 직업외교관 출신인 반 총장은 국내에 '반기문 사단'이라 불리는 잠재적 인맥을 구축하고 있다. 전현직 외교관료와 충청출신 정치인을 망라한다. 지연에선 '충청의 맹주'인 김종필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진석ㆍ홍문표ㆍ이장우 의원 등이 포함됐다. 부친이 충북 영동 출신으로 반 총장의 국내 주소지(사당동)를 지역구로 둔 나경원 의원도 우군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최경환 의원 등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외교관료 출신으로는 한승수ㆍ노신영 전 총리와 김숙 전 유엔 대사, 김원수 유엔 사무차장, 박준우 청와대 전 정무수석, 윤여철 청와대 의전비서관 등이 거론된다. 다만 이들이 정치 세력화하는 움직임은 아직 포착되지 않고 있다.


[추석후 주목받는 3인]대권시계 태엽감는 潘ㆍ孫ㆍ安의 인맥 분석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


◆인맥 붕괴된 손, 여전히 '아웃사이더'인 안= 손 전 고문의 사람들은 지난 총선을 앞두고 더민주와 국민의당으로 행보가 엇갈렸다. 서강대 학맥의 상당수는 국민의당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총선 당시 손 전 고문이 대놓고 더민주의 유세 지원에 나서지 못했던 이유다.


2012년 대선후보 경선 때 캠프 대변인을 지낸 김유정 전 의원을 비롯해 김동철 의원, 임내현ㆍ최원식ㆍ신학용 전 의원 등이 국민의당에 합류했다. 반면 손 전 고문과 친분이 두터운 조정식ㆍ우원식ㆍ이찬열ㆍ김병욱 의원 등은 더민주에 잔류했다. '손학규계'가 존재하지만 색깔이 뚜렷하지 않다는 게 단점이다.



안 전 대표는 인맥 지도에선 변두리에 자리한다. 당내 학연에선 부산고 선배인 김성식 의원과 유일하게 연결돼 있다. 서울대 의대 동문, 기업인 출신과도 교류가 거의 없는 상태다. 부산 출신 정치인들과도 좀처럼 연대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대선 캠프 때 인맥인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 등 소수의 그룹만이 안 전 대표를 뒷받침하고 있을 따름이다. 무엇보다 유력한 '멘토'였던 윤여준 환경부 전 장관 등과 소원해진 관계는 가슴이 아픈 대목이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