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산업창출·개혁완수"…광복절 단골소재인 '北·日' 보다 국내 현안 '방점'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朴대통령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 보다 국내 현안 비중 높아

한일 관계는 '미래지향적 관계 만들어야' 한줄 언급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사의 방점은 그동안 단골 소재였던 북한과 일본관계 보다는 국내 현안에 찍혀 있었다. 자긍심과 단합으로 신산업 창출, 노동개혁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8월 초 지뢰도발이 발생한 탓에 광복절 경축사에 "어떤 도발도 단호히 대응한다"는 메시지와 함께 "연내 남북 이산가족 명단 교환 추진""보건 의료 안전협력 문화 체육교류 지속" 등 남북관계에서 강약을 조절하는 메시지가 담겼고 한일관계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조속 합당하게 해결해야" "역대 내각 입장 계승 밝힌 점에 주목한다" 등의 표현으로 위안부 협상에 임한 일본을 압박했다.


반면, 올해 경축사에서는 한일 관계에 대해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한줄로 밝혔을 뿐이고, 남북문제에 대해서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논란이 있었지만 그동안 주장했던 수준에서 더 나아가는 대목은 없었다.

대신 국내 현안에서는 '4대 개혁 완수' '창조경제 완성' '국민과 함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대장정' 등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한 내용을 잇는 일관된 흐름을 나타내며 수차례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제 다시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이었던 도전과 진취, 긍정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국정과제 완성에 박차를 가해야 할 때가 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남은 임기가 1년6개월 가량 남아 있는 만큼 국정과제 완수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다.


"자긍심과 국민단합이 이번 광복절 경축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망도 이 같은 배경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이를 강조하기 위해 K팝 인기와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의 롤모델이라는 점을 예로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세계적인 문화 중심지 파리에서는 빗속에서도 한국의 K팝과 우리 문화를 만나기 위한 유럽 각국 젊은이들의 행렬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었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를 비롯한 많은 지역의 개발도상국들은 대한민국을 발전 모델로 삼아 배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고 소개하면서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의 저력이자 자랑스러운 현주소"라고 언급했다.


반면 스스로 비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의 위대한 현대사를 부정하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우리나라를 살기 힘든 곳으로 비하하는 신조어들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자기비하와 비관, 불신과 증오는 결코 변화와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다시 한번 도약을 위해 국민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이 재도약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것은 4차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신산업 창출과 노동·교육개혁이다.


박 대통령은 신산업 창출과 관련해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일"이라고 평가했고 노동개혁에 대해서는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라고 단언했다. 또 교육개혁과 관련해서는 "진정한 ‘기회의 사다리’를 만들어 스펙이 아닌 개개인의 역량이 평가받는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보다 성숙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건강한 공동체'를 꼽았다.


박 대통령은 "글로벌 경제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어려운 상황에서 모두가 ‘남 탓’을 하며 자신의 기득권만 지키려고 한다면 우리 사회가 공멸의 나락으로 함께 떨어질 수도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스스로 비하하지 말고 서로 양보하는 미덕을 발휘해야 난관을 헤치고 제2의 도약을 이룰 수 있다는 얘기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