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허리휘는 체감물가]심각한 저물가?…월급빼고 다 올랐다

시계아이콘01분 5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허리휘는 체감물가]심각한 저물가?…월급빼고 다 올랐다
AD


한은, 오는 14일 저물가 현황에 대한 경제설명회
6월 소비자 물가 두달 연속 0%대…반면 소비자 체감물가는 계속 상승
월급은 제자리인데 전·월세, 채솟값, 가공식품 줄줄이 인상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최근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사상 처음으로 오는 14일 이주열 총재가 직접 설명회를 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를 밑돈 원인과 저물가 추세가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그만큼 저물가가 심각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전혀 딴판이다. 통계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는 갈수록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매달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가 일상생활에서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얘기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상승률은 한 달 전인 5월과 같은 0%대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0.8%에서 2월 1.3%, 3ㆍ4월 1%로 올라섰다가 5월부터 0%대를 기록 중이다.


품목별로 농ㆍ축ㆍ수산물 가격이 전년보다 0.7% 떨어져 지난해 4월(-0.5%) 이후 1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파(-21.8%), 토마토(-19.9%), 참외(-18.8%), 달걀(-13.3%), 쌀(-9.7%) 등이 크게 내렸다. 배추, 무 등도 전월 대비 각각 31.8%, 31.5% 가격이 떨어졌다.


반면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은 달랐다. 한은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매달 조사하는 '물가인식'은 지난 5월 2.5%로 실제 물가상승률(0.8%)과 1.7%포인트 차이가 났다. 물가인식은 지난 1년 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을 담은 지표다.


실제 한국농수산유통공사(aT)에 따르면 11일 기준 상추 100g 가격은 934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2%나 치솟았다. 얼갈이배추(1kg)도 19.7% 오른 1958원에 거래됐으며 제철채소인 갓(2.6kg)도 19.5% 상승한 4900원에 팔렸다.


대표적인 여름채소인 오이와 열무, 호박값도 급등세다. 오이(10개) 가격은 지난해 같은기간 5786원에 거래됐지만 11일 현재 7852원으로 35.7%나 올랐다. 열무(1kg)도 1년전 보다 27.7% 상승한 2273원을 기록했고 애호박(1개)도 1002원으로 16.5% 뛰었다.


올해 급등세를 보인 한우값도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우갈비 100g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6% 오른 4994원에 거래됐고, 한우등심(100g)도 7922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6% 상승했다.


가공식품 값도 치솟고 있다. 과자와 빙과류, 음료는 올 들어 줄줄이 인상되는 추세다. 해태제과는 지난 1일 자일리톨껌 등 8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1.35% 인상했다. 크라운제과는 지난달 3일 빅파이 등 11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8.4%, 롯데제과는 지난 3월 비스킷류 8종의 가격을 평균 8.4% 올렸다.


여름철 수요가 급증하는 빙과류 가격도 일제히 뛰었다. 롯데제과와 해태제과 등 빙과 4사는 가격을 최대 100원 가량 인상했고 코카콜라는 음료 가격을 평균 7% 올렸다.


가계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ㆍ월세 가격도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내년도 최저임금도 노사가 치열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경기하강기에는 필수 소비지출 비중이 늘고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경기하강기에는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혹은 소득 수준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물가상승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게 될 것"이라며 "기초적인 소비 수준은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의 작은 상승도 더 크게 느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즉, 현재와 같이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서 임금이나 자산 소득이 줄어드는 경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훨씬 높아지게 된다는 얘기다.

[허리휘는 체감물가]심각한 저물가?…월급빼고 다 올랐다 [사진=아시아경제DB]


이처럼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 물가지수와 체감물가 간 괴리는 심리적 요인을 제외해도 좁혀들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지표 산정기준의 차이가 꼽힌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계소비 지출에서 비중이 큰 481개 대표품목의 가격변동을 가중평균해 산출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이용하는 품목의 가격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구매 시점과 소득에 따른 차이도 있다.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있다. 내년 물가통계를 전면 개편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 통계청은 소비자물가지수 구성품목의 개편주기를 5년에서 3년으로 앞당기고 가중치를 조정할 계획이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