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ADPi "김해공항 확장이 접근성·환경·비용측면 모두 뛰어나"

시계아이콘01분 1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검토 용역결과 발표
김해공항 확장에 4조3900억원 소요
활주로 2본 건설시 밀양 6조원·가덕 10조6000억원


ADPi "김해공항 확장이 접근성·환경·비용측면 모두 뛰어나" 2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에서 후보지 검토 용역을 맡은 장 마리 슈발리에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수석엔지니어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에 신공항을 건설하는 것보다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이 접근성과 환경, 비용 측면에서 모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됐다.


21일 오후 3시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에서 후보지 검토 용역을 맡은 장 마리 슈발리에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수석엔지니어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안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가장 우위를 차지했다"며 "ADPi는 영남권 신공항으로서 김해공항 확장안을 권고한다"고 발표했다.

ADPi는 각각 접근가능성과 환경·소음피해, 실현가능 성 등에 가중치를 둔 3가지 시나리오와 함께 이 모든 것을 고려한 종합평가를 실시했다. 이 결과 총 4가지 평가 모두에서 김해 확장안이 밀양과 가덕도 신공항 건설안보다 나은 것으로 평가됐다.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는 "가덕도는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건설 자체도 어려우며 국토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접근성도 문제가 된다"며 "밀양은 전통적 입지에서 신공항 입지로 적합하지만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김해 공항 확장이 가덕도와 밀양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 슈발리에는 "기존의 시설을 확장하게 되면 필요한 수요량을 모두 감당할 수 있다"며 "기존의 시설을 파괴하거나 제거를 해야하는 필요가 줄어든다"며 김해 공안 확장안을 권고한 이유를 설명했다.


ADPi는 지난해 7월부터 밀양과 가덕도를 포함한 총 35개 지역을 신공항 후보지로 놓고 입지분석을 진행했다. 이후 총 4단계의 평가를 거쳐 김해 확장안과 밀양, 가덕도 신공항 건설안을 놓고 다시 평가를 진행했다.


우선 종합평가 결과 김해 확장안이 818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밀양 활주로 2본과 1본 건설안은 각각 683점, 665점을 받았다. 가덕 활주로 2본은 581점, 1본은 635점으로 평가됐다.


건설비용으로는 김해 공항 확장에 38억달러(약 4조3900억원)가 투입될 것으로 추산했다. 밀양 활주로 1본은 41억달러(약 4조7300억원), 2본은 52억달러(약 6조원)가 필요하고 봤다. 가덕 1본은 67억달러(약 7조7000억원), 2본은 92억달러(약 10조6000억원)로 추정했다.


가중치를 달리한 분석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접근가능성과 잠재력에 가중치를 둔 시나리오A와 소음·환경 피해에 가중치를 둔 시나리오B, 비용과 건설 위험에 가중치를 둔 시나리오C 모두 김해 확장안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정부는 기존 김해공항에 3조5700억원을 들여 활주로와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해 신공항급의 시설 확충을 진행한다. 기존 활주로 2본에 독립활주로 1본을 신설한다. 또 2800만명이 수용가능한 국제선터미널을 신축하고 기존 터미널은 국내선 전용(1000만명)으로 활용한다.


또 접근 교통망 개선도 추진한다. 동대구~김해공항을 환승 없이 직접 연결하는 지선을 신설하고 대구~부산 고속도로 및 남해 제2고속 지선에서 국제선터미널로 직결되는 연결도로도 신설한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내년 중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방침이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