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 책]'도시인의 로망' 귀농·귀촌 바이블 출간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전원생활 촌테크' 주창하는 베테랑 경제기자 출신 박인호 씨 저작
전원 전도사의 송곳 조언 "귀농귀촌 의미를 성공 아닌 행복에 둬라"


[새 책]'도시인의 로망' 귀농·귀촌 바이블 출간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도시를 떠나 시골로 향하는 인구가 해마다 늘지만 실패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왜 그럴까. 도시에 오랫동안 살다 막연한 동경으로 시골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기대가 많으니 실망도 큰 법. 실패하는 이들의 공통점이다.

[새 책]'도시인의 로망' 귀농·귀촌 바이블 출간

22년간 경제기자로 왕성하게 활동하다 지난 2010년 강원도 홍천 산골로 들어가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고 있는 박인호 씨(53·사진)가 낸 새 책은 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농부가 된 베테랑 경제기자의 전원생활 촌테크'(동아일보사, 264쪽)다.


도시살이에는 '선수'지만 시골에서의 삶에는 '젬병'인 이들이 도시를 떠날 때 계명처럼 살펴볼 만한 얘기들을 담고 있다. 경험담이면서 동시에 경제전문기자의 경력을 십분 살린 전원칼럼니스트이자 전원전도사로서 생생하고도 분석적인 글을 살펴볼 수 있다.

박 씨는 "2015년 귀농귀촌 인구는 총 5만가구, 10만명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될 정도지만 정작 실행에 옮긴 이후 생각지 못한 '전원 속 전쟁'을 겪고 다시 도시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면서 "귀촌이든 귀농이든 낭만이 아닌 현실임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의 준비에 필요한 공부를 하고 철저하게 계획한 뒤 결행해야 실패가 없다"고 단언한다.


박 씨가 내건 '전원생활 촌테크'의 전제는 "전원생활은 낭만이 아닌 현실"이라는 것. 그는 "도시민들이 귀농귀촌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며 "치밀한 계획과 준비 없이 결행하면 소득 문제, 자녀 교육, 원주민 텃세 등의 현실적인 벽에 부딪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경제통인 박 씨는 전원생활 재테크도 빼놓지 않는다. 이 역시 촌테크의 중요한 영역이라는 것. 먼저 전원생활 입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는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밝힌 것처럼 주거할 땅을 선택할 때는 지리(풍수), 생리(경제), 인심(사회), 산수(자연)를 두루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인구가 밀집된 도시보다 농촌 즉 전원에서의 입지 선정은 전원생활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 요소다. 여기서부터 잘못되면 이후 집짓기와 초기 전원생활까지 모든 게 틀어진다.


집테크 또한 아무리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집 한 번 지으면 10년 더 늙는다고 하지 않는가. 특히 단지형 전원주택이 아닌 농지나 산지를 사서 집을 짓는 경우엔 농·산지 전용 과정을 거쳐 건축 인허가를 받아야 하고, 여기에 더해 집을 짓는 과정에서 실제로 겪는 스트레스와 시공업체와의 마찰 등도 피할 수 없다. 박 씨는 "도시인이 농·산지를 전용해 전원주택을 짓고자 할 때 대지 면적은 가급적 660m²(약 200평) 이하, 건축면적 150m²(45.3평) 이하로 하면 나중에 도시의 주택(1가구1주택)을 팔 때 그대로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전원주택은 부부가 거주할 경우 50m²(15.1평) 규모로 짓되 다락방과 데크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라고 팁을 준다.


'전원생활 촌테크'는 이외에도 자연과 함께하는 친환경 농사짓기까지 박 씨 자신의 체험과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하나하나 짚어준다.


박 씨가 들고 나온 촌테크론의 결론은 뭘까. 그건 바로 전원생활의 목적을 '성공'이 아니라 '행복'에 두라는 것. 그는 말한다. "사실 '성공'이란 단어는 돈, 명예, 권력 등 도시적 가치를 아우르지요. 새로운 인생 2막의 터전인 전원으로 들어와 안식, 느림, 힐링 등 전원의 가치를 담고자 한다면, 이 도시의 가치들을 하나씩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전원의 가치가 들어설 여지가 생기지요.”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