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개성공단 전면중단으로 인해 우리 입주기업들이 입는 피해액은 적게는 수천억원에서 많게는 조 단위의 천문학적 액수에 이를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2013년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로 인한 피해액은 1조원(입주기업 신고액)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인들은 공단 폐쇄로 130여일간 생산 중단 피해를 봤던 2013년의 악몽이 재연될까 우려하고 있다.
입주기업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섬유ㆍ봉제업체들은 대부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물건을 만드는데, 계절성이 강한 의류 상품은 제품 생산이 중단되면 거래처가 끊길 수 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이 폐쇄된 적은 개성공단 가동 이후 10여 년 동안 딱 한 번이다.
2013년 북한은 제3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당시 남북관계는 급속도로 경색됐다. 이후 북한은 일방적으로 개성공단 폐쇄를 발표했다. 134일 동안 개성공단은 문을 닫았다.
당시 입주기업들은 납품 연기, 수주 불발 등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원ㆍ부자재를 포함한 모든 생산제품을 공단 현지에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단 폐쇄로 반출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해외 바이어들의 신뢰도도 떨어졌다. 이는 개성공단이 재가동된 이후로도 큰 문제로 작용해 해외 기업들은 거래를 축소했다. 개성공단 생산 제품은 남북한 군사적 상황에 따라 약속한 날짜를 어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입주기업 대표는 "기업 입장에서는 북을 제재한다는 말이 우리 쪽에게 대신 벌을 주겠다라는 말로 들린다"면서 "실제 2013년 당시 가동 중단으로 양질의 거래처들이 떨어져나가 피해를 봤는데 그 고통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또 경협보험으로 인해 입주기업들의 피해는 더 증가했다.
개성공단이 폐쇄됐을 때 각 입주기업들은 수십억원 이상의 피해를 봤다. 총 피해액은 1조566억원(입주기업 신고액)이었다. 하지만 경협보험을 통해 받은 지원금은 기업당 1000여 만원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피해액을 고스란히 떠안았다.
당시 입주기업 234곳(한국전력ㆍ우리은행ㆍ현대아산 등 공공성을 띤 10곳 제외)이 통일부에 신고한 피해액은 현지투자액(5437억원)과 원청업체 납품채무(2427억원), 재고자산(1937억원) 등 1조566억원이었다.하지만 통일부가 증빙자료를 통해 확인한 피해 금액은 7067억원으로 업계의 추산과 3500억원가량 차이가 났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미래의 영업손실도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번 개성공단 전면중단은 2013년 이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던 개성공단 기업들에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20%이상 늘어 2004년 공단 가동이래 처음으로 5억 달러를 돌파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124개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생산액은 5억1549만 달러(한화 6187억원)로 개성공단 연간 생산액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개성공단 생산액은 2010년 3억2332만 달러, 2011년 4억185만 달러, 2012년 4억6950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북한의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조치로 134일 동안 가동이 중단됐던 2013년 2억2378만 달러로 급감한 뒤 2014년 4억6997만 달러로 회복세를 보인 바 있다.
또 다른 입주기업 관계자는 "지난해 남북 간 개성공단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지만 공장 가동에는 별문제가 없었고 북한근로자가 1000명 가까이 증가했으며, 작업시간도 늘었다"며 "개성공단이 활성화된다면 새로운 경제 돌파구를 찾기 힘든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데 이제 해외 시장에서 개성공단 자체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는 건 아닐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