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수소탄실험]北핵실험 확신 위한 감시장비는

시계아이콘01분 1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北 수소탄실험]北핵실험 확신 위한 감시장비는 ▲북한 핵실험 준비 징후.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에서 6일 인공지진으로 보이는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4차 핵실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최종 분석에는 시간이 좀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북핵실험을 확인하려면 다양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 군당국의 입장이다. 한미 양국이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은 핵연료 분석이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방사성 물질인 제논(Xe)은 한반도 대기를 떠돈다. 기상에 따라 변수는 있지만 통상 방사능 물질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은 10일이다. 이 기간내에 제논을 탐지해야만 핵연료를 분석할 수 있다.


북한은 2006년 10월9일과 2009년 5월25일에 각각 진행된 1차와 2차 핵실험에서 플루토늄 방식을 선택했다. 3차 핵실험 때에는 어떤 방식이었는지 한미 정보당국이 정확히 분석하지 못했다. 4차 핵실험에서 고농축 우라늄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나올 경우 북핵 위협 강도는 더 세진다. 북한의 우라늄 매장량은 2600만t으로 풍부하고 순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핵무기를 대폭 늘릴 수 있다.

북핵실험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미공군의 특수정찰기인 WC-135C가 오키나와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동해로 날라와 북한 핵실험때 발생돼 대기중에 확산된 크세톤(Xe-135)과 크립톤(kr-85), 세슘(Cs-137) 등 방사능 물질을 수집해야 한다. 우리 정부도 고정식(2대), 이동식(1대) 제논탐지 장비를 동ㆍ서해안 등에서 가동할 채비를 꾸린다.


이 정찰기는 냉전시대부터 옛소련 상공을 비롯해 세계 곳곳을 무대로 핵실험 탐지임무를 수행했다. 미국은 2006년 10월 북한의 1차핵실험 때도 이 정찰기를 네브래스카 주의 공군기지에서 일본의 미군기지로 급파했다. 또 핵실험 직후 대기로 퍼져 나간 극미량의 방사능 물질을 포착 할 수 있는 채집기를 탑재하고 있다. 또 통신감청을 하거나 탄도미사일을 추적하는 RC-135정찰기들도 동해상에 출동한 상태여서 북한 정보를 수집한다. 핵실험 전에 계측 장비와 지상 통제소 간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고 흙과 자갈, 콘크리트 등으로 갱도 입구가 봉쇄된다는 점을 감안해 감시정찰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의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KINS)은 핵실험에 대한 최종분석을 한다는 목표로 탐지선박을 동해지역으로 파견할 것으로 보인다.


지진파를 감지하는 주요 기관들도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핵지진파를 찾아낼 수 있는 곳은 강원도 원주에 핵실험금지조약(CTBT)이 지정한 관측소 1곳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6곳, 기상청 117곳, 한국전력연구원 13곳,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4곳 등이다.


북한은 지난해 외무성 성명을 통해 "다종화된 핵 억제력을 각이한 중장거리 목표들에 대하여 각이한 타격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훈련들이 다 포함되게 될 것"이라며 "핵 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핵 시험도 배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