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월호 청문회 오늘(14일) 열린다…쟁점 사안 보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세월호 청문회 오늘(14일) 열린다…쟁점 사안 보니 지난 11월 열린 세월호 특조위. 사진=TV조선 뉴스화면 캡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의 1차 청문회가 14일 시작됐다.

이번 청문회는 참사 발생 초기인 지난해 4월 16일 오전 해경 지휘부와 현장 출동 구조세력의 구조구난 과정과 각종 기록에 대한 조작 여부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오전 이춘재 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장과 유연식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상황담당관, 조형곤 목포해경 경비구난과 상황담당이 증인으로 나왔다. 참고인으로는 현장 목격자인 생존자 2인이 출석한다.

당시 해경 수뇌부는 세월호 승객들을 구조할 수 있었던 9시 경부터 9시 45분경까지 ‘승객이 대부분 배 안에 있다’는 4차례의 현장보고에도 불구하고 퇴선 명령 등의 지시를 하지 않았다.


이들 증인들이 청문회에서 사실대로 증언을 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청문회를 시작하며 이석태 특조위원장은 "이번 청문회에서 저희는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가 제대로 대응한 것인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묻고자 한다"며 "그것은 보통의 해상사고였을 수 있는 상황이 거대한 비극과 참사가 된 원인이 바로 여기 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석태 특조위원장의 인사말 이후, 참사 당시 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찍은 배 안의 기록영상과 진도 팽목항에서 유가족들의 애타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상영됐다.


이어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단체 모두진술이 진행됐다. 세월호 참사 피해자가족협의회 전명선 운영위원장은 울먹이면서 자신을 단원고 2학년 7반 찬호의 아버지라고 소개했다.


전명선 씨는 "배 안에서 아이들이 공포에 떨고 있을 때 밖에서 국가는 무엇을 했느냐. 배안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말했고, 구조하려는 사람을 돌려보냈고, 구조를 포기시키려고 최선을 다 했다고 해도 믿어질 지경"이라며 "더 무서운 것은 마치 잘못이 없었던 것처럼 서둘러 끝내려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명선 씨는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고 특별법을 만들고 특별조사위를 만든 것 아니냐. 그런데 정부는 특조위의 진상규명을 지원하기는 커녕 특조위 손발을 묶으려는 태도를 보여 왔다"며 "해수부가 여당 의원들에 지침을 내리는 문건에 경악했다. 이 문건 역시 철저히 진상을 규명해 처벌이 내려져야 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