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YS의 정치적 유산, 누가 상속할 수 있을까

시계아이콘02분 4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김영삼 전 대통령이 서거한 뒤 사후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정치적 유산의 향배를 둘러싼 관심이 커졌다. 실제 김 전 대통령 빈소에는 숱한 정치권 인사들이 찾았다. 일부는 상주를 자처했고, 또 일부는 장례기간 내내 빈소를 지켰다.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의 상속자는 누가될까?


김 전 대통령은 우리 정치사에서 정치인으로서나, 대통령으로서 극단적인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다. 김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민주 투사였다. 하지만 아이러니한 것은 김 전 대통령을 청와대로 한발자국 다가서게 한 것은 평생 맞싸웠던 군부독재의 유산이었던 민정당과의 3당합당 결정이었다. 그의 3당합당 결정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결별을 불러오는 등 큰 파장을 불러 일으키는 등 민주진영의 항구적 분영을 촉발했다. 이 외에도 3당합당은 민주화의 장본인들의 족보를 꼬이게 만드는 결정적 계기가 되기도 했다. 민주화라는 빛이 그의 젊은 시절을 빛내준다면 3당합당은 한국의 대표적 야당 정치인이라는 그의 명성의 어둠이 됐다.

YS의 정치적 유산, 누가 상속할 수 있을까 김영삼 영결식이 엄수된다. / 사진=아시아경제DB
AD

대통령 시절에는 임기 초반 개혁 대통령의 빛나는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임기 후반은 친인척 인사 개입, 1997년 외환위기로 빛이 바라고 말았다. 그는 취임 첫해인 1993년 2분기에 83%라는 경이적인 지지율을 기록했지만 1997년 4분기에는 지지율이 6%로 곤두박질했다. 각각 역대 최고와 역대 최저 지지율이다.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그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이뤄지면서 김 전 대통령의 자산과 부채에 대한 재평가 작업도 이뤄졌다. 과거에는 외환위기에 대한 책임론의 목소리가 컸다면 이제는 민주화에 대한 그의 공헌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자연 오늘날 김 전 대통령과 인연이 있었던 이들의 득실도 엇갈렸다.


유산 상속 문제에 있어 최대 쟁점은 상속자의 자격 조건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서거 소식을 들은 직후 '정치적 아들'이라고 소개하며 상주를 자처했다. 그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일부 인사들은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김 전 대통령의 빛에 해당하는 민주화의 관점에서 봤을 때 보수정당 대표로서의 삶을 살아온 김 대표의 행적은 고인과 너무 다른 삶이라는 지적이다. 가령 한완상 전 부총리는 김 대표를 두고서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어떻게 자기의 정치적인 대부라고 한다면서 대부의 투쟁을 그렇게 무시를 하냐"며 혀를 찾다. 특히 한 전 부총리는 국정교과서와 관련된 김 대표의 행보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한 전 부총리는 "치매에 걸린 것 아니냐"며 " YS의 유신 체제에 대한 민주투쟁의 그 현실을 보면서 그걸 까마득하게 잊고 국정교과서를 추진한다는 것은 정치적인 치매가 아니고는 어떻게 해석하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이러니한 것은 김 대표를 오늘날 보수정당인 새누리당에 터전을 잡게 한 단초가 바로 김 전 대통령의 3당합당 결정이었다.

부산·경남(PK)으 대표적 정치인을 자처하는 김 대표로서는 PK의 맹주 김 전 대통령의 후계자가 됨으로써 또 다른 지역 맹주의 길을 걸을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김 전 대통령이 물려준 빛과 그림자, 그리고 김 전 대통령의 투쟁의 삶과 보수 정당의 수장이 된 김 전 대표의 오늘이 잘 맞는 궁합이 될 수 있을지는 지켜볼 대목이다.


김 전 대통령과의 의리를 지키면서 빛을 본 정치인도 있다.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전 상임고문이다. 손 전 대표는 빈소가 차려진 동안 매일 출근하면서 빈소를 지켰다. 정계은퇴를 선언한 뒤 전남 강진에 은거했던 그가 빈소를 내내 지킨 것은 주목할 대목이다. 그는 정계복귀와 관련된 일말의 단서라도 들으려는 기자들의 질문 공세가 이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꿋꿋하게 빈소를 지키고, 영결식이 마쳐지자 강진으로 돌아갔다.


그의 이같은 행보는 어떤 결과로 돌아올까? 학생운동의 전면에 섰던 손 전 상임고문은 김 전 대통령의 발탁으로 정계 입문했다. 그의 여당행은 그와 함께 민주화를 위해 싸웠던 동지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만들었다. 결국 손 전 상임고문은 2007년 한나라당에서 탈당을 하면서 야당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여당 출신이라는 꼬리말은 제1야당 대표를 역임했음에도 번번이 그의 대권의 발목을 잡곤 했다. 시쳇말로 족보가 문제였다. 하지만 김 전 대통령의 화려한 민주화 운동의 업적이 부각되는 건 이제 남다른 상황이 됐다. 손 전 대표는 김 전 대통령의 낙점을 받았다는 사실 때문에 민주진영의 서자 취급을 받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더 나간다면 김 전 대통령의 손에 이끌려 정계에 데뷔했을지 몰라도 결국 야당의 길을 선택한 그는 민주진영의 통합의 매개 고리로 평가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손 전 상임고문이 실제적으로 유산 상속에 나설지는 또 다른 문제다. 그는 정계를 은퇴했기 때문이다. 유산을 물려받겠다는 상속의지가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또 다른 유산 상속 후보자는 김 전 대통령의 친아들이자, 정치적 조력가 김현철씨다. 그동안 정계 진출을 꿈꿔왔던 그였기에 내년 총선 등을 통해 정계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의 발언도 심상찮다. 그는 발인 예배에서 "지금 현재 민주화가 다시 불타는 조짐을 보이는 이 시점에 아버님을 통해서 주님께서는 이 땅에 진정한 통합과 화합이라는 메시지를 주셨다"고 말하기도 했다.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김 씨를 김 전 대통령의 "가장 가까운 핵심 참모"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민주화 시대의 한 주역이라는 뜻이다. 김 씨의 최근까지의 정치행보를 지켜보면 새정치연합을 선택할 가능성도 높다. 새정치연합의 입장에서는 민주화 세력의 단일대오라는 면면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영입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