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 김혜영 행정자치부 의정관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행정자치부는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 장례위원회 2222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다음은 실무를 담당한 김혜영 행자부 의정관의 일문 일답.
▲ 장례위원회 구성은 어떻게 이뤄졌나?
=규정에 따라 장례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은 6명 이내로 명시돼 있다. 그 외에는 관례에 따라 정부 측에서 추천하는 인사, 유족 측이 요청하는 인사의 명단을 받아서 결정한다. 유족 측 명단을 받는 데 다소 시간이 걸렸다.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맡는데, 부위원장은 유족 측에서 김봉조 전 국회의원을 추천했다. 나머지는 관례에 따라 부위원장단을 구성했다. 고문은 총 101명이다. 집행위원은 관련부처 행자부 장관이 당연직이고 관계부처 장관과 경찰청장 포함해 총 6명이다. 장례위원은 유족 측의 의도를 100% 반영했다.
영결식은 기본적으로 유족 측하고 협의해서 진행한다. 과거에 영결식을 진행하는 순서를 설명했고 그 내용을 유족 측과 어느 정도 정리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모레가 영결식이기 때문에 내일쯤 보도자료 배포할 것이다.
▲노제는 지내나?
= 노제 등 영결식 내용을 유가족과 협의 중에 있다.
▲종교의식은 어떻게 진행되나?
종교 의식은 문화관광부의 종무국에서 담당한다. 4대 종교가 다 참여한다. 대신 유족들의 뜻을 반영해 기독교가 가장 먼저 의식을 진행하고 천주교, 불교, 원불교 등이 이어서 의식을 한다.
▲추도사는 누가 하나?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하는 걸로 돼 있다. 2011년 국가장법 제정되고 나서 처음이다. 유족 측하고 국가장을 협의하는데 이견이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장례위원의 경우 김대중 전 대통령 때 4일차에 공고됐다. 장례절차가 늦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때와 비교하면 빠르다. 유족 측에서 관행적으로 고향에 있는 자치단체장이 넣자고 해서 경남지사가 들어갔다. 부위원장은 관행적으로 국회부의장, 헌법재판소 수석재판장, 감사원장 이렇게 돼 있는데 유족 측에서 김봉조 전 국회의원 한분만 넣어달라고 했다.
▲장례위원 중에 서민·국민 대표는 없나?
=그런 것은 안했다. 유족 측의 장례위원(명단)에 손을 안 댔다. 노무현·김대중 대통령때에 준해서 맞춰주셨다.
▲장례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
=지금과 전혀 다른 것이 없다. 종교의식은 국가장이기 때문에 문화체육관광부 종무실에 4대 종교가 있다.(4대 종교가 참여한다는 얘기.) 이번에는 순서를 바꿔서 한다. 기독교가 먼저한다. 기독교 불교 천주교 원불교 순.
▲장례위원을 구분해달라.
= 정부 추천 808명, 유족추천 1414명이다. 총 2222명이다.
▲운구는?
=국회에서 행사 끝나고 현충원 갈 때 상도동 들렸다가 갈 것인지 협의해야 한다. 유족 대표는 김현철 씨다.
▲역대 대통령에 비해 장례위원 규모는?
=최근 세분(대통령)과 비교하면 중간 규모다. 최규하 전 대통령 때는 국민장을 했는데 가족장과 비슷하게 했다. 장례위원이 680명 밖에 안됐다. 박정희 대통령이 최대 규모다.
▲영결식 초청 인사는 어느 정도 규모인지?
=유족 측에서 국민들에게 부담주면 안된다고 해서 적게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많이 하지 않기로 했다. 국민에게 부담주고 그런 분위기는 아닌 거 같다. 오늘 회의하면 규모가 나올 것이다.
▲장례위원 구성 원칙은 통합과 화합인가?
=언론에서 통합과 화합이 나오는데... 유족이나 정부에서 배제하는 사람은 없다.
▲장례위원 통보는?
=정부 측은 다 됐다. 유족 측은 우리가 관여하기는 어렵다. 전직 대통령은 초청은 한다.(초청은 하지만 오는지 안오는지는 알 수 없다는 말)
▲유족 측에서 추천하면 전원 다 수용하나?
=관행적으로. 국민장, 국장에서 유족 측 의견을 배제하는 경우는 한번도 없었다. 노무현ㆍ김대중 대통령 때도 다 수용했다.
▲직전인 김대중 대통령 때와 다른 점은?
=그때는 국회에 빈소를 같이 운영했다. 이번에는 유족 측에서 가족하고 고향에 친지들 오면 야외에서 하기는 그렇다고 해서 빈소는 서울대병원에서 하고. 영결식은 국회에서 하는 게 차이다. 서울대병원에서 하는 거를 발인으로 봐도 될지는 모르겠다. 공식적인 국가장 행사는 국회에서 한다.
▲과거 장례위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는 1404명이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2375명이었다. .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