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유신시대' 분노한 10만 인파, 광화문서 격렬 시위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유제훈 기자, 원다라 기자, 정현진 기자] 14일 오후 서울 도심에서 7년만에 가장 큰 규모의 도심집회가 열렸다. 광화문 광장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시위대와 이를 막기 위해 '차벽'까지 설치한 경찰은 현재 시간까지도 대치하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등 53개 시민·사회단체 및 333개 지역단체가 결합한 '민중총궐기 투쟁본부'에 따르면 이날 총궐기에 참여한 인원은 10만여명(경찰 추산 6만4000명)으로, 지난 2008년 '광우병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최대 규모다.
이처럼 7년만에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린 것은 최근 박근혜 정부의 연속적 '강공드라이브'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정부는 사회적으로 논란이 큰 노동개혁·역사교과서 국정화 등을 일방추진해 야당과 시민사회의 반발을 사 왔다.
집회 참가자들은 오후 1시께부터 종로구 대학로 등 도심 곳곳에서 청년·노동·빈민·성소수자·장애인 등 각 부문별 사전집회를 열고 정부에 노동개혁 철회·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반대 등 11개 분야 22개 과제를 요구했다.
이날 오후 2시 대학로에서 열린 '청년총궐기'에 참가한 윤희숙 한국청년연대 상임대표는 "청년들이 언제까지 지옥같은 끝없는 경쟁에 살아야하는가"라며 "더이상 이 지옥에서 버티거나 포기하지 말고, 헬조선을 만든 자에게 책임을 묻자"고 말했다.
그러나 광화문 광장을 미신고 지역으로 간주한 경찰은 세종로사거리 등 주요 거점에 콩기름을 바른 차벽을 설치하고, 250개 중대 2만여명의 병력을 동원해 광화문광장 진출 차단에 나섰다. 인근 지하철역(경복궁역·광화문역·종각역) 등에서도 통행이 제한돼 일부 시민들의 불편을 낳기도 했다.
민중총궐기 참가자들은 오후 4시 부터 각 방면에서 광화문으로 결집하기 시작했다. 오후 4시50분께 서울광장 부근을 출발한 시위대가 중구 동아일보사옥 인근에 다다르자 경찰은 물대포와 캡사이신을 발포, 시위대의 접근을 차단했다. 광화문에 이르는 길목인 조계사 등지에도 경찰 병력이 배치돼 각 방면에서 진출하는 시위대를 막았다.
이에 일부 시위대는 밧줄을 동원해 차벽을 끌어내려 시도했으나, 광화문 진출에는 실패했다. 조계사 등 다른 방면에서도 경찰과 시위대의 실랑이가 계속됐지만, 경찰의 방어선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이처럼 경찰이 시위대의 광화문 진출을 막아서면서 점차 집회는 격화됐다. 오후 6시가 넘어서자 경찰은 캡사이신을 시민에게 조준사격 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고, 집회 참가자들은 투석전을 벌이거나 전경들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혹시 모를 부상 등에 대비하기 위해 조계사, 동화면세점, 파이낸스센터 등 3곳에 의료진을 대기시키고 있는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소속 정진미(41·여)씨는 "사람들이 다칠까봐 나왔는데, 아까 조계사쪽에서 한명 다쳤다고 들은 것 외에는 아직까지는 다친 사람이 없다"며 "다만 캡사이신을 맞아서 물로 세척해준 사람들이 몇 명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집회가 격화되면서 연행·부상자도 점차 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경찰관 폭행 등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집회 참가자 10명이 검거됐다. 또 경찰관 1명과 집회참가자 2명 등 모두 3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에 후송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민주노총은 정부가 추후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조건 완화, 성과해고 행정지침 등을 일방 처리 할 경우 2차 '총파업'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은 "국제노동기구(ILO)은 노동자들이 경제·사회정책에 대한 해법을 추구하는 것도 파업권에 포함된다고 규정하하고 있는 만큼, 정치파업도 노동자의 권리"라며 "정부는 노동개악을 당장 중단하지 않는다면, 이번 민중총궐기의 분노와 기세를 노동현장에서 다시 목도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원다라 기자 supermoon@asiae.co.kr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