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습관·비만이 원인…'위식도역류질환' 대처법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식습관·비만이 원인…'위식도역류질환' 대처법은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위식도역류질환은 기름진 식단과 불규칙한 식습관, 비만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수는 지난 2010년 284만7763명에서 작년 364만6561명까지 늘어났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2일 소비자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를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약품 안전사용매뉴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복용시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를 발간·배포했다.

이번 안전사용매뉴얼은 재발하기 쉽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특성이 있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의 올바른 복용법 등을 안내해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마련했다.

식습관·비만이 원인…'위식도역류질환' 대처법은


주요 내용은 ▲위식도역류질환의 정의와 증상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제 종류 및 작용 원리 ▲부작용 및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이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위산과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넘어 들어가 식도점막을 자극해 쓰리고 아픈 증상을 유발하거나 이로 인해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주요 증상으로 가슴쓰림, 산 역류, 쉰 목소리, 가슴통증, 만성기침, 기관지 천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의 종류에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위산분비억제제’ ▲위산을 중화시켜주는 ‘제산제’ ▲점막을 보호해주는 ‘점막보호제’ 등이 있다.


위산분비억제제는 ‘양성자펌프억제제’와 ‘히스타민수용체길항제’ 등이 있다. ‘양성자펌프억제제’는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등의 약물이 있으며 ‘히스타민수용체길항제’는 시메티딘, 라니티딘 등이 있다.


제산제는 알긴산나트륨 등이 있으며, 위산을 직접적으로 중화시켜 위산 역류, 속쓰림 등의 증상을 줄여주는 데에 도움을 준다. 점막보호제는 수크랄페이트 등이 있으며, 위산 등으로부터 점막을 보호해 증상을 호전시킨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의약도서관(http://drug.mfds.go.kr) > 의약품분야서재 > ebook 리스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