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문승용]
국내 15개 통관 항만 중 5개 항만 방사선 감시기 미설치
방사선감시기 설치한 항만도 ‘감시기 대수’ 충분치 않아
현장운용 보안요원 또는 청원경찰 수행, 전문성 떨어져
장병완 의원 “항만은 방어의 최전선…감시기 확대해야”
후쿠시마 사고로 방사성 오염물질 유입에 대한 국민 불안이 높은 가운데, 국내 통관 항만 세 곳 중 한 곳에서 방사성 오염물질 감시의 필수장비인 방사선 감시기 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장병완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광주 남구)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15개 주요 항만 중 10곳에만 73대 방사선 감시기가 설치돼 있지만, 고현·장항·대산·동해묵호·삼천포 항 5곳에는 현재 감시기가 미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미설치 5개 항만의 화물 물동량(2014년 기준)은 전체 물동량의 약 10%(9.98%)인 7184만 5,000톤에 달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산항의 경우 방사성 오염 우려가 큰 일본산 고철 등 재활용 고철 1만 톤이 수입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전체 항만의 방사선감시기 설치율도 필요 감시기 대비 57.9%인 것으로 확인돼, 방사선감시기가 설치 된 항만도 충분한 수의 감시기가 설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항항과 마산항은 방사선 감시기 설치계획 대비 설치율이 각각 25%, 33.3%로 낮아, 방사성 오염물질에 대한 통관감시체계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포항항은 인근 제철산업의 발전으로 국내에서 수입 고철물동량이 두 번째로 많은 항만이다.
장병완 의원은 “통관 항만은 방사성 위험물질 방어에 국가 최전선인 만큼 수입 물품의 방사능 검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만약 방사성 검사가 완벽하지 않아 항만이 뚫리면 국내 유통을 막는 것은 사실 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산 수입화물에 대한 방사성 오염 문제가 수차례 지적됐음에도 4년이 지난 지금까지 감시기 조차 없는 항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방사성 물품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려는 원안위와 정부의 의지가 부족한 것”이라고 공박했다.
장 의원는 또 “그나마 있는 감시기 현장운용도 전문성이 떨어지는 청원경찰 또는 보안요원이 맡고 있어 검사 정확성에 의문이 있다”며 수입화물 방사선 감시체계의 문제점을 강조했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8년까지 총 126개 감시기를 확보, 필요한 모든 항만에 감시기를 도입해 방사성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문승용 기자 msynew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