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운전대 놓는 日 노인 때문에 소비 더 악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인지·운동능력 퇴화에 면허증 반납…쇼핑 줄고 이동도 뜸해져 경기활력 저하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일본에서 고령화로 인지ㆍ운동 능력이 떨어져 자동차 운전을 포기하는 노인 인구가 늘면서 이들의 사회고립이 심화하고 있다. 그러잖아도 인구 노령화로 고통 받고 있는 일본 경제에 이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노년층의 실질 구매력을 끌어안고 싶은 일본 소매업계에 노인들의 사회고립은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에게 온라인 쇼핑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운전면허증을 당국에 반납하는 일본 노인들은 꾸준히 늘었다. 일본처럼 인구 고령화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이웃 한국과 중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운전대 놓는 日 노인 때문에 소비 더 악화
AD


일본 정부의 교통사고 대책은 고령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대표적인 정책이 70세 이상 노인에게 운전면허 갱신시 '고령자 운전강습'을 의무화한 제도다. 이는 노인이 자기의 운전능력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들어 운전면허증 반납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들의 운전면허증 반납을 유도하는 당국의 조치에 대해 의아해하는 이는 별로 없다. 많은 노인이 교통사고에 연루되기 때문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자동차 없이 식료품점으로부터 500m 밖에 사는 이들 '쇼핑 난민'이 점차 늘어 700만명을 기록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더 심각하다. 편의점 세븐일레븐 운영업체인 세븐앤드아이홀딩스는 소형 픽업트럭으로 외딴 곳에 사는 노인들 집이나 마을회관까지 주먹밥ㆍ샌드위치를 배달해주고 있다.


도쿄(東京) 소재 다이이치(第一)생명경제연구소의 구마노 히데오(熊野英生)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회견에서 "달리 뾰족한 해법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