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블로그]금융권 회장님의 연봉반납 데자뷔

시계아이콘01분 34초 소요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우리는)사실 연봉반납이란 이벤트로는 신규채용 효과를 올리긴 힘들어요. 그래도 여러 가지 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신규채용을 확대할 여지가 있는지도 살펴보고 있어요. "


금융권에 연봉반납을 통한 신규채용 확대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3일 KB, 신한, 하나 등 3대 금융지주 회장들이 자발적으로 연봉의 30%를 반납해 신규채용 재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힌 게 시발점이 됐다. 이 발표 후 DGB금융, BNK금융, JB금융 등 지방 3대 금융지주 회장들도 임금 20%를 반납해 일자리 창출에 동참하기로 했다. 카드업계, 보험업계 등에서도 임금 반납을 고민하고 있다.

회장님들의 이번 결정이 자발적으로 이뤄졌다는 발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순진할 수 있다. 이미 금융업계에선 사실상 관치금융의 결과물이란 얘기가 나온다. '청년고용 확대'를 하반기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정부가 아직은 입김이 통하는 금융권의 팔을 비틀어 내놓은 결과물이란 것이다. 3대 금융지주 회장의 임금 반납이 금융권, 재계, 노동계 등 사회 전반으로 확산된다면 노동개혁 작업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수 있다.


배경이 있든, 없든 간에 금융권의 신규 채용 확대는 환영받을 일인 게 분명하다. 특히 초저금리의 장기화로 경영환경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고 하는 금융권에 박수를 치고 싶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청년 취업난이 해결되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2009년의 경험 때문이다. 당시 은행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취업난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자 직원의 임금을 삭감해 신규 채용을 늘리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은행권의 선제적인 움직임에 대기업들도 임직원 임금 반납을 통해 모은 재원으로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을 앞다퉈 내놨다.


그러나 효과는 크지 않았다. 정규직 채용 계획과 함께 인턴, 계약직 채용이 뒤엉켜 있어 임시방편의 성격이 짙었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기대했던 임금 구조 개편의 효과도 없었다. 신입사원 초봉을 중심으로 삭감됐던 임금은 단계적으로 회복됐다. 이번에도 별반 다르지 않다. 신입사원 초봉을 중심으로 단행했던 것으로 회장과 경영진으로 주체만 바꿨을 뿐이다.


금융그룹 회장들의 연봉 반납이 청년 취업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가뜩이나 은행권은 올해 신규 채용 규모를 확 키웠다. 비대한 은행인력의 구조조정 없이 신규채용만 추가된다면 인력구조가 기이해 지는 것은 물론 수익성에도 치명타를 입을 게 뻔하다. 경영진의 연봉 반납이 금융권의 고임금 구조개편 작업의 방아쇠 구실을 제대로 할지도 의문이다. 삭감이 아닌 반납으로 명칭한 만큼 언제든지 연봉 수준을 제자리로 돌릴 수 있다.


신규 채용은 기업의 이익을 늘고 노동 유연성이 제고되면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회장들의 연봉 반납이 금융권 전반의 고임금 구조에 대한 개편 작업 없이는 효과가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때마침 금융당국이 금융권의 고임금 구조개편안을 마련중이라고 한다. 금융업계가 '경영진 연봉반납'이란 카드를 통해 임금 구조 개편의 멍석을 깐 만큼 금융당국이 실현성을 높이는 대책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금융사들도 임금구조 개편과 함께 신사업 개발을 통한 수익 기반의 다양화를 통해 고용창출의 여력을 키워야 한다. 이대로 가면 또 반짝 이벤트에 그칠 수 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