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분 카드상식]무이자 할부는 포인트 적립이 안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 신용카드 회원수 7000만명, 연간 카드승인금액 500조원. 바야흐로 신용카드 전성시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신용카드 발급수는 9232만장, 체크카드는 1억장을 넘었다. 편의점에서 껌 한 통을 살 때도 카드 결제가 가능한 대한민국. 그만큼 알아야 할 상식들도 많다. 미리 알면 도움이 되는 카드 관련 상식을 대화 형식으로 풀어 1분 만에 읽을 수 있도록 가상 커플의 대화로 알기 쉽게 정리해봤다.


"3개월 무이자라고 해서 좋다고 계속 할부로 계산했더니만 이번 달 포인트가 거의 하나도 안 쌓였네." 김알뜰씨(여·29)

"세상에 공짜가 어딨겠어. 카드사 입장에선 할부로 계산해주면 그만큼 또 비용이 드는거잖아." 이흥청씨(남·32)


이번 달 카드명세서를 들여다 본 김알뜰씨는 한숨을 내쉬었다. 너무 적게 쌓인 포인트 때문이었다. 무이자 할부를 선호하던 김씨는 최근에야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 할부를 하게 되면 포인트 적립이나 캐시백 혜택 등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래도 너무 하지 않아? 나는 몰랐단 말이야. 카드 많이 써도 의외로 포인트는 너무 안 쌓이는 것 같아."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해당 금액만큼 포인트 적립이나 캐시백 혜택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무이자 할부를 할 경우엔 대부분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포인트는 1원,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알뜰아. 너무 속상해하지마. 앞으로 포인트 꼬박꼬박 잘 모아서 쓰면 되지. 카드 포인트를 통합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알고 있어?"


"그런 사이트가 있다고?"


"응.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라고 홈페이지(http://www.cardpoint.or.kr)를 이용하면 돼. 우리 얼마나 모았는지 한 번 볼까?"


통합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카드 등 10개 카드사에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잔여 포인트, 소멸 예정포인트, 소멸 예정 월 등을 알 수 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