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상등 켜진 對中 수출…기업전략 '리셋'

시계아이콘01분 3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중국시장이 흔들리면서 국내 수출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자, 철강 등 대(對)중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의 기업들은 수출 전략을 수정하는 등 중국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을 고심 중이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ㆍ기아차는 현재 1700여개인 중국 내 딜러(판매업체)를 내년까지 2000여개로 늘리는 한편 중국 중서부 지역과 소도시 딜러를 집중 확보해 중국 판매망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한 중국 자동차 시장이 SUV 위주로 급격히 바뀌고 있는 만큼 가격 할인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중국 소비자 기호에 맞는 차량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부진한 중국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현대ㆍ기아차는 중국 내 공장 가동률이 급감하고 판매가 눈에 띄게 떨어지는 등 최근 중국실적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800만대 가량을 판매한 현대ㆍ기아차는 중국에서 수출 및 현지 생산을 포함해 약 182만대를 판매했을 정도로 중국 사업의 비중이 크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1~6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가까이 줄어든 80만여대에 그쳤다. 이에 지난 18일엔 중국지역의 판매ㆍ영업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합작법인장과 중국전략담당 임원 등 중국사업 수뇌부 '3인방'을 동시에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전자업계도 중국 시장 대응에 고심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통해 중국 사업을 크게 확대 시켜놨지만 최근 들어 중국 전자기업의 급성장으로 상대적으로 매출 규모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실적이 급감하기 시작했다.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 현지 업체들이 시장점유율을 크게 늘리며 삼성전자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5위까지 하락했다. 위기에 처한 중국총괄은 지난해까지 중국내 유통망을 재정비하고 중국 시장 대응용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는 등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자구책을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실적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때문에 연말 인사에서 삼성전자가 중국을 비롯해 실적이 부진한 해외 총괄들에 대한 인사 개편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또한 전체 매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5%안팎에 불과하지만, 중국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을 고심 중이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제품가 인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철강업계는 최근 위안화 절하 쇼크까지 터지자 더욱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위안화 절하로 가격 경쟁력이 더욱 높아진 중국철강 제품과의 수출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국내 철강사들은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진 일반강보다는 고부가강 개발에 집중하는 등 고급화 전략으로 이를 극복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포스코는 중국 현지에 고부가가치 제품인 냉연강판과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하는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생산에 들어가는 등 중국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및 고유기술 개발 판매 확대 전략에 나섰다. 현대제철 또한 고부가강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함으로써 수익성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이봉걸 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위원은 "중국 수출 비중이 25%에 이르는 우리나라로선 중국 경기 변화에 지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며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높여 위기를 헤쳐나가는 동시에 글로벌 환경 변화에 맞게 상황별 전략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