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격진료' 논란 정진엽 내정자 제자논문 표절 의혹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가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원격진료와 관련한 특허를 등록해 정부의 의료선진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는 의료계 일각에서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논문 표절 의혹까지 나오면서 청문회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 내정자는 2007년 정형외과학회지에 기고한 논문 '경직성 양측마비에서의양측 대퇴골 감염 절골술'이 2005년 제자의 석사논문 '경직성 양측 마비에서의 양측 대퇴 감염절골술'과 제목이나 내용, 결론 면에서 흡사하다는 의혹을 받고있다.

제자의 석사 논문 심사자로 참여한 정 내정자는 자신의 이름으로 학회지에 이 논문을 게재하면서 제자의 이름을 공저자로 등록하지 않았다.


논문 내용을 보면 유사점이 확연히 드러난다. 정 내정자의 논문 첫 문장 "뇌성마비는 복잡한 변형이 동반된 하나의 질병군으로 환자에 따라 이환된 정도가 다르고 양상이 달라 일정한 치료법의 효과를 단순히 비교하는 것은 힘들다"는 문장은 제자의 논문 첫 문장과 토씨까지 같다.

연구 대상 수도 서울대병원에서 수술한 환아 26명으로 동일하다. 다만 연구 기간만 제자논문의 경우 1997∼2004년이지만, 정 내정자의 논문은 1997∼2005년이다.


이 논문 외에도 정 내정자가 2004년 같은 학회지에 게재한 '경직성 편마비에서 염전 변형에 따른 보행 양상(예비보고)'은 2003년 제자가 학위논문으로 제출한 '경직성 편마비에서의 염전 변형과 보행 양상'과 유사하다는 평가다.


또 정 내정자의 2005년 학회지 논문 '정상 한국인의 3차원 보행 분석(예비 보고)' 역시 또다른 제자의 논문 '정상 한국인 보행의 3차원적 운동형상학적 및 운동역학적 분석'과 형태, 내용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정 내정자는 이들 3개 논문으로 서울대병원에서 2번, 한국인체기초공학연구재단에서 1번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


문형표 장관의 후임으로 낙점된 정 내정자는 1993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2013년에는 분당서울대병원 원장을 역임했고, 2008∼2010년에는 대한소아정형외과학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