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롯데의 主人' 조차 파악 어려운 최악 밀실경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3초

'롯데의 主人' 조차 파악 어려운 최악 밀실경영
AD


갈수록 뒤엉키는 국내 5위 기업…근본원인은 실타래式 지배구조였다
일본 롯데홀딩스·광윤사 비롯 11개 L투자사 주인도 베일 속
"동빈, 회장 임명한 적 없다" 신격호, 자신이 결정해놓고도 기억못해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롯데그룹이 부자간·형제간의 경영권 분쟁으로 치부를 드러낸 배경에는 불투명한 지배구조와 독단적인 밀실·황제경영에 있다. 재계 서열 5위의 롯데그룹은 연 매출 83조원, 80여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지만 그룹의 지배구조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오너 일가도 신격호 총괄회장 등 극소수만 알 뿐이다.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와 광윤사의 지분구조는 더욱 불투명하다. '일본=신동주, 한국=신동빈'에게 맡긴 이후에도 사실상 신격호 총괄회장의 1인체제로 운영돼 왔기 때문이다.

2일 공개된 신 총괄회장의 영상에서도 이같은 제왕적 리더십은 드러난다. "신동빈을 회장으로 임명한 적이 없다. 용서할 수 없다"라는 발언은 그의 한마디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점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장막에 쌓여있는 지배구조 어떻길래=롯데그룹의 지배구조는 베일에 쌓여 있다. 형제의 난이 수면위로 올라온 지난달 28일 이후 이슈의 중심에 있음에도 불구, 롯데그룹 지배구조 정점인 일본 롯데홀딩스와 이 회사의 최대주주인 광윤사의 지분구조는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한국 롯데를 지배하는 호텔롯데도 72%가량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11개 'L투자회사'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신 총괄회장 일가는 낮은 지분율에도 불구하고 얽히고 설킨 400여개의 순환출자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일본 롯데홀딩스와 특수관계인은 호텔롯데, 롯데알미늄, 롯데물산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으며 롯데건설의 지분 97.96%를 갖고 있는 등 계열사에 대한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신 총괄회장은 기업공개를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3년 기준 일본 롯데그룹 계열사 37곳 가운데 상장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한국 롯데그룹도 8곳만 상장돼 있다. 호텔롯데는 2013년 공모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가 금융당국이 한국과 일본의 지배구조에 관한 자료 제출을 요구하자 발행 계획을 취소하기도 했다.


이번 사태를 주도한 신 전 부회장과 신 회장측이 주장하고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의 지분구조도 전혀 다르다. 신 회장측은 광윤사 지분 27.65%를 제외하고 본인 보유 지분 20%와 우리사주 12% 등 우호세력을 합쳐 최대 70%를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신 전부회장은 "롯데홀딩스 의결권은 신 총괄회장이 대표인 자산관리회사가 33%를 지니며 자신은 2% 미만이지만 32%가 넘는 종업원지주회를 합하면 3분의2가 넘는다"고 주장했다. 주주총회 이사를 해임하기 위해서는 참석주주 3분2 이상이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로 70% 이상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롯데의 主人' 조차 파악 어려운 최악 밀실경영 2일 공개된 신격호 총괄회장의 동영상 모습


◆제왕적 리더십 드러난 동영상=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장막에 쌓여있는 것은 신 총괄회장의 밀실경영, 황제경영에서 시작된다. 이는 전일 공개한 신 총괄회장의 동영상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이 영상은 신 전 부회장이 세간에 제기되고 있는 건강이상설을 불식시키기 위해 찍은 것으로 보인다.


그 간 신 전 부회장에 의해 신 총괄회장의 육성과 지시서만 공개됐을 뿐이어서 진의와 건강에 대한 의혹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신 총괄회장은 롯데호텔 34층 자신의 집무실에서 녹화한 영상을 통해 "둘째 아들 신동빈을 한국 롯데 회장과 롯데홀딩스 대표로 임명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70년간 롯데그룹을 키워온 아버지인 자신을 배제하려는 점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용서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신 총괄회장의 영상은 여러 논란을 낳고 있다. 대본을 더듬더듬 읽는 모습이나 차남을 한국 롯데그룹 회장에 임명하지 않았다는 점, 일본 지주회사 명칭을 틀리게 한 발언이 논란의 핵심이다. 신 회장은 2011년 초 회장으로 취임해 이미 4년 반 동안 롯데그룹을 이끌었다. 신 총괄회장은 지난 2011년 2월10일 신 회장을 14년만에 부회장에서 회장으로 승진시켰다. 신 총괄회장을 이 사실을 부인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롯데그룹 역시 "4년간 회장직을 수행해왔는데 임명한 적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일본 롯데홀딩스를 한국 롯데홀딩스로 잘못 말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한국엔 롯데홀딩스라는 회사가 없다. 또 하나는 신 회장이 자신의 말 한마디로 그룹을 통치하는 황제식 경영이 동영상을 통해 드러났다는 점이다. 앞서 지난달 27일 일본 도쿄 롯데홀딩스 본사에서 주요 임직원 10여명을 갑자기 불러 모아 손가락으로 신 회장을 비롯한 6명의 이름을 가리키며 해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신 총괄회장의 구두지시가 법적 절차와는 관계없이 그동안 롯데그룹의 인사를 좌지우지했다는 관행을 방증한다.


일본의 상법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아무리 최대주주라 하더라도 주주총회를 통하지 않고는 이사들을 선임하거나 해임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총괄회장이 일본홀딩스의 이사들에 대해 해임권을 행사하려면 주주총회를 반드시 개최해야 한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