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김은별 기자, 손선희 기자]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에서 가장 취약점으로 지적되던 삼성물산이 제일모직에 합병됐다.
이번 합병은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이하 엘리엇)의 공격속에서 지켜냈다는 점과 향후 삼성그룹을 승계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제일모직을 통해 삼성전자를 직접 지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순조롭게 연내 사업구조 재편 작업을 마무리 지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17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두 회사의 합병 의결건을 가결시켰다. 제일모직은 주총 시작 18분만에 속전속결로 합병건을 가결시켰고 삼성물산은 약 4시간 동안의 치열한 표싸움 뒤에 찬성표 69.53%를 얻어 합병을 성사시켰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이 성공하면서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재편은 큰 밑그림을 마쳤다. 통합 삼성물산은 향후 삼성그룹의 사업 지주회사 역할을 하게 된다. 패션, 식음, 건설, 레저, 바이오 등 그룹내의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게 된다.
◆지배구조 취약점이던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으로 해결=지배구조 측면에선 의미가 더 크다. 삼성물산은 오래전부터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취약점 중 하나였다. 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반면 계열사 보유 주식은 많아 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역할을 하면서도 공격당할 소지가 다분했던 것이다.
이재용 부회장은 제일모직 지분 23.23%를 갖고 있는 최대주주로 합병 이후에는 총 16.5%의 지분을 갖게 된다. 이번 합병을 통해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이 갖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 4.1%와 제일모직이 삼성생명을 통해 보유한 지분 7.6%를 더해 삼성전자 지분 11.7%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건희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의 상속여부와 상관없이 이 부회장이 직접 삼성전자를 지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삼성그룹의 순환출자 구조 역시 ‘제일모직→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전기·삼성SDI→제일모직’에서 ‘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단순화된다.
◆이재용 부회장, 바이오 사업 등 그룹 경영 전면으로=이재용 부회장이 그룹 차원에서 차세대 성장 사업으로 육성중인 바이오 사업도 더욱 힘을 받게 됐다. 향후 전자사업과 함께 그룹내 성장의 핵심축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46.3%, 4.9%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통합 삼성물산의 경우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51.2%를 보유하게 된다. 단순 사업지주가 아닌 바이오 사업의 중추가 되는 것이다.
합병에 성공하며 이 부회장의 경영행보도 크게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회장은 이건희 회장의 와병 이후 그룹 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중이다. 최근에는 삼성전자를 넘어선 전 계열사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주주 지분이 낮았던 삼성물산은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가장 취약한 고리 중 하나였지만 제일모직과의 합병을 통해 약한 고리를 보강할 수 있게 됐다"면서 "향후 이재용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활발히 나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외 행보 넓히는 이재용 부회장=이 부회장은 지난달 23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확산 과정에서 삼성서울병원이 진원지가 된 데 대해 삼성공익재단 이사장 자격으로 사과했다. 그룹 총수로서의 공식 데뷔를 사과 기자회견으로 시작한 셈이다.
이후 이 부회장은 북미 출장길에 올라 현지 법인을 둘러보고 귀국했다. 이어 지난 8일 미국 아이다호주 선밸리에서 열리는 '앨런앤코 미디어 콘퍼런스(선밸리 콘퍼런스)' 참석차 다시 미국으로 출국해 약 일주일 동안 머물렀다.
이 부회장은 이번 합병을 둘러싸고 벌어진 엘리엇과의 공방전은 조용히 지켜보면서도 주총이 임박하자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박유경 네덜란드연기금 자산운용사(APG) 이사와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네덜란드 연기금이 보유한 삼성물산 지분은 0.3%에 불과하지만 이번 합병 과정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했던 만큼 적극적인 설득에 나선 것이다.
◆삼성그룹, 2년간의 사업구조 개편 작업 이제 막바지=성그룹은 지난 2년여간 계열사간 인수·합병과 매각 등의 방법으로 사업구조 재편 작업을 추진했다. 17일 사업구조 재편 작업의 정점인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이 승인되면서 그룹의 지배구조가 단순해졌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순환출자 구조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작업이 눈에 띄기 시작한 것은 2013년 하반기부터다. 2013년 9월 삼성에버랜드(현 제일모직)가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의 인수를 결정했고, 비슷한 시기 삼성SDS는 삼성SNS를 흡수합병키로 했다.
패션사업을 인수한 에버랜드는 대신 건물관리사업을 같은해 11월 에스원으로 넘겼고, 급식·식자재 사업은 분리해 삼성웰스토리를 설립했다. 패션·바이오·리조트 사업에 집중, 강화한다는 밑그림을 이 시기부터 그려온 셈이다.
다음해인 2014년 3월, 삼성SDI는 제일모직의 소재부문을 합병키로 했다. 패션사업은 에버랜드에, 소재부문은 삼성SDI에 넘기면서 기존 제일모직은 창립 6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그러나 지난해 5~7월, 삼성SDS와 삼성에버랜드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발표했고 에버랜드는 상장 전 사명을 '제일모직'으로 변경키로 밝혔다. 9월에는 삼성중공업과삼성엔지니어링의 합병도 추진했으나 결국 주식매수청구금액이 높아 무산됐고, SDS와 에버랜드(제일모직) 상장에만 성공했다.
방산·화학부문 정리작업도 진행됐다. 삼성테크윈·삼성탈레스·삼성종합화학·삼성토탈 등은 한화그룹에 매각했다. 화학과 방산 부문은 매각하고 수익성이 나는 전자산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서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해 상장한 제일모직을 삼성물산과 합병키로 결의했고, 합병에 반대하는 여론이 나오며 논란도 있었지만 결국 7월17일 승인됐다. 합병한 신설 삼성물산은 오는 9월1일 출범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합병으로 향후 삼성그룹이 지배구조 개편을 마무리짓기 위해 삼성전자와 삼성SDS의 합병, 삼성SDS와 삼성SDI의 합병, 부품 회사간의 합병 등을 진행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