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3차 감염, 예방법은?…'손 씻기+마스크 착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메르스 3차 감염, 예방법은?…'손 씻기+마스크 착용' 메르스 예방법. 사진=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 2명이 사망하고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하면서 감염 증상과 예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중동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신종 바이러스로, 2003년 발생한 중증급성호흡기 증후군(사스)과 유사하지만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치사율이 40%에 육박한다.


보통 7~14일 잠복기 이후 고열·흉통 등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폐렴 등의 심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현재까지 명확한 감염 경로는 낙타를 통한 감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메르스의 잠복기는 짧게는 2일, 길게는 14일 정도이며 메르스에 감염된 환자는 주로 38℃ 이상의 발열을 동반한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호흡기 질환 감염 예방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메르스 바이러스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호흡기 질환 감염 예방법은 평상시 손 씻기와 양치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등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사람이 밀집된 장소는 가급적 가지 않는 것이 좋으며, 발열이나 호흡 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는 접촉을 피해야 한다. 만일 해당 증상이 본인에게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이밖에도 외출 시에는 마스크 착용을 하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휴지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한다. 사용한 휴지는 반드시 쓰레기통에 버려 침이나 분비물로 인한 3자 감염을 막는 것이 좋다.


한편 38도 이상의 발열이나 기침과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이상 증상을 보일 경우에는 가까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거나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으로 연락해 신속한 조치를 받아야 한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