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인구, 싼 임금 시너지 효과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30일(현지시간) 통일 40주년을 맞는 베트남이 중국에 이어 '세계의 굴뚝'으로 떠오르고 있다.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군이 남베트남 수도 사이공(현 호치민)을 함락하면서 종전됐을 당시 베트남은 세계 빈국 가운데 하나였다. 그런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국가로 탈바꿈한 것이다.
HSBC은행과 시장정보 제공업체 마킷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베트남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2013년 8월 이래 다달이 50 이상으로 확대돼왔다.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이는 아시아의 어떤 국가도 달성하지 못한 진기록이다. 중국에서는 같은 기간 중 8개월의 PMI가 위축됐다. 태국의 제조업 PMI는 지난 1월까지 22개월 동안 50 미만을 기록했다.
HSBC는 지난달 베트남의 PMI를 발표하면서 "최근 베트남 업계에서 생산량과 신규 주문이 더 증가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기업들은 나라 안팎에서 전보다 많은 주문을 받고 있다. 마킷의 앤드루 하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생산비용이 줄곧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 정회원국 가운데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가 베트남이다. 게다가 전략적 위치, 젊은 인구, 중국보다 싼 임금 덕에 베트남은 의류ㆍ신발 제조업체는 물론 삼성전자ㆍ인텔ㆍ지멘스 같은 세계 굴지 기업의 공장도 유치할 수 있었다.
베트남의 장점 가운데 하나는 임금이 여전히 낮다는 것이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2013년 베트남 근로자들의 월 평균 임금은 197달러(약 21만7700원)였다. 태국의 경우 391달러, 중국이 613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 인구는 젊다. 66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6%에 불과하다. 10%인 중국과 태국, 13%인 한국보다 젊은 것이다.
베트남의 제조업에서 첨단기술이 별로 필요 없는 직물ㆍ의류ㆍ가구ㆍ전자의 비중은 아직 높다. 그러나 현지 기업들이 인력 교육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면서 이들 부문의 비중은 낮아질 것이다.
통일 직후 미국 등 서방의 경제제재, 1978년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이듬해 중국과 베트남의 전쟁으로 베트남 경제ㆍ사회가 불안에 빠졌다. 그러나 베트남은 1986년 사회주의 체제에 '도이 모이(경제쇄신)' 정책을 도입해 위기 탈출의 발판으로 삼았다. 베트남 경제는 외국인 투자를 끌어들이며 1990년대 연간 평균 7.5% 성장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경제성장세가 둔화했지만 2014년 6.0%를 기록했다. 올해 베트남 정부의 성장 목표치는 6.2%다.
1980년대 연간 100달러 안팎에 그쳤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13년 1909달러로 늘었다. 1988년 3억7000만달러였던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FDI)는 지난해 202억3000만달러로 50배 넘게 불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오는 2050년까지 베트남 경제가 눈부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트남은 세계의 굴뚝인 이웃 중국의 대안으로 환영 받고 있다.
게다가 다시 불거지는 중국과 일본의 영토분쟁으로 베트남은 일본 기업들이 선호하는 투자처로 각광 받고 있다. 일본의 프린터 메이커 교세라는 베트남에서 연간 프린터 생산량을 오는 2018년 3월까지 지금의 네 배인 200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워싱턴 소재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의 비크람 네루 연구원은 "베트남 경제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며 "그 전에 공공부문의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베트남의 문제로 노사분규를 지적했다. 지난달 하순 대만 소재 신발 제조업체 바오청(寶成)의 호치민시(市) 공장에서 직원 수천명이 정부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며 파업을 벌였다. 이는 지난해 5월 공장 폐쇄로 이어진 반(反)중국 폭동 이후 최악의 사태였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