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진격의 스피스 "2연승 GO~"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메이저 챔프의 2주 연속 출장 '이례적', 디펜딩 챔프 쿠차와 맞짱

진격의 스피스 "2연승 GO~" 조던 스피스. 사진=Getty images/멀티비츠
AD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우승-2위-2위-메이저 우승-?"

진격의 조던 스피스(미국)다. 마스터스를 제패했지만 16일 밤(한국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힐튼헤드 하버타운골프링크스(파71ㆍ7101야드)에서 개막하는 RBC헤리티지(총상금 590만 달러)에 곧바로 출사표를 던졌다. 메이저 챔프의 연속 출장이라는 대목부터 이례적이다. 마스터스 우승자가 다음 주에 연거푸 등판한 건 2007년 잭 존슨(미국) 이후 8년 만이다.


여전히 우승이 고프다는 이야기다. 2013년 존디어 우승 이후 무려 다섯 차례나 2위에 그치는 등 무려 20개월 동안 '2위 징크스'에 시달리다가 지난달 16일 밸스파에서 통산 2승째를 수확했지만 3주 전 텍사스오픈과 2주 전 셸휴스턴오픈에서 또 다시 연속 2위에 그치는 아픔을 맛봤다. 그린재킷을 입었지만 아직 우승 갈증이 해소되지 않은 셈이다. 지난해 이 대회 공동 12위에 그친 설욕전의 의미를 더했다.

주최 측은 예상치 못했던 '스피스 효과'를 기대하며 함박웃음을 짓게 됐다. 당연히 강력한 우승후보다. 이번에는 특히 '차세대 골프황제'로 위상이 달라진 시점이다. 마스터스 우승을 앞세워 세계랭킹 2위로 올라섰고, 다승(2승)과 상금랭킹(496만 달러), 평균타수(69.26타), 페덱스 포인트 랭킹(2009점) 등 미국프로골프(PGA)투어 개인 타이틀 전 부문에서 1위를 접수했다.


스피스는 그러나 전문가들이 우승후보 목록에서 잭 존슨(미국)을 스피스보다 우위에 올려놓은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장은 짧지만 페어웨이가 좁고, 좌우에 수백그루의 참나무와 소나무 숲이 조성돼 무엇보다 티 샷의 정확도가 중요한 코스다. 존슨의 주 무기가 바로 페어웨이안착률 21위(68.56%)의 '정타'다. 350야드에 육박하는 장타를 때리는 스피스는 반면 공동 88위(61,67%)다.


디펜딩챔프 매트 쿠차(미국)는 대회 2연패와 시즌 첫 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사냥'을 꿈꾸고 있다. 지난해 최종일 마지막 18번홀(파4)에서 20m 거리의 그린사이드 벙커 샷을 그대로 홀인시켜 우승 버디를 잡아낸 드라마를 연출한 주인공이다. 예상대로 스피스와 쿠차, '현대토너먼트 챔프' 패트릭 리드(미국)가 1, 2라운드에서 '흥행조'로 편성돼 동반플레이를 펼친다. 17일 새벽 1시40분 1번홀(파4)에서 출발한다.


루크 도널드(잉글랜드)의 '한풀이'와 '66세의 백전노장' 톰 왓슨(미국)의 출장이 장외화제다. 도널드는 2009년 공동 2위와 2010년 공동 3위, 2011년 연장전 끝에 2위, 2013년 공동 3위, 지난해 2위 등 수없이 우승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다. 왓슨은 지난해 스피스와의 동반플레이로 44살의 나이 차이라는 이색뉴스를 만들었다. 한국은 13년 연속 마스터스 출장에 실패해 절치부심하고 있는 최경주(45ㆍSK텔레콤)가 선봉에 섰고, 노승열(24ㆍ나이키골프)과 배상문(29)이 뒤를 받치고 있다.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