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H '행복론' 대출, 100억 넘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임직원들 월급으로 조성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들이 월급을 쪼개 조성한 '행복론(Loan)' 대출 총액이 최근 100억원을 넘었다. 이 돈은 모두 경제적으로 어렵고 제도권 금융의 문턱을 넘기 힘든 LH 임대주택 입주민 등의 긴급 자금 수혈을 위해 쓰였다.


15일 LH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LH 행복론 대출 총액은 106억이다. 지난 2009년 12월 행복론 대출을 시작한 지 5년4개월여만이다.

행복론은 LH의 부장급 이상 간부와 임원이 매달 월급의 일부를 떼어 신용회복위원회에 기부한 돈을 재원으로 했다. 그만큼 의미가 남다르다. LH 임직원들이 출범 초기부터 1년간 기부한 25억원이 종잣돈(대출 재원)이 됐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기부금을 내고 있다.


위원회 소액대출 기부금으로는 단일 기관 최대 규모이자 임직원들이 급여를 반납해 기부한 건 공기업 최초다. 지금까지 31170명이 혜택을 받았다. 가구당 평균 대출액이 330만원 정도로 소액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꼭 필요한 이들에겐 절실한 돈이다. 지금까지 전체 지원금액의 0.2% 정도만 손실금액으로 처리됐을 정도로 신뢰도 탄탄하다.

위원회는 신용회복 중에 있는 대상자들이 긴급자금이 필요할 경우 무보증, 2~4%의 이자로 소액 대출을 해준다. LH 임대주택 거주자가 지원 대상자로 위원회로부터 신용회복지원을 받아 변제금을 12개월 이상 성실하게 납부하거나 대출금 상환 여력이 있는 저소득 근로자, 영세자영업자 등이다. LH 임대주택 거주자의 병원비·생활비·임차보증금 등 생활안정자금으로 우선 지원하는데 영세자영업자의 시설 개선자금, 운영자금으로도 쓸 수 있다. 회수되는 원리금은 다시 다른 이들에게 지원되는 선순환 구조다.


LH 관계자는 "제도 금융권을 이용하기 힘든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한 행복론이 LH 임대주택 취약계층의 신용회복과 자립 등 경제적 재기를 위한 발판이 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임대주택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 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15일 위원회와 'LH 임대주택 취약계층 신용회복 및 자립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LH 행복론의 성실한 운용과 임대주택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 신용회복·생계자금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 발굴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