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T, "2019년까지 전국 섬 100%에 기가 인터넷 깐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올해 2017년까지 293개 유인 도서 '기가(GIGA) 화'
세계 최초 위성 광대역 LTE 서비스…남극 기지와도 LTE 통화
광케이블+마이크로웨이브+위성LTE…'트리플 기가 네트워크' 구축


[백령도(인천)=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앞으로 5년 뒤에는 전국의 모든 섬에서도 기가급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오성목 KT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은 지난 16일 오후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2019년까지 전국 도서 100%에 기가급 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민 기업 KT의 이미지를 한층 더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전국에 사람이 살고 있는 유인 도서는 494개이며 이미 광케이블이 구축된 곳을 제외한 유인도서는 437개다. KT는 이른바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올해 166개(38%) 도서에 기가 인터넷을 보급할 계획이다.

이어 3년 후인 2017년까지 293개(67%), 2019년까지 437개(100%) 도서에 기가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KT의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란 도서 지역에 기가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해 기존의 해저 광케이블뿐 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M/W) 철탑, 위성 광대역 LTE를 함께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KT는 도서 지역에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해 광케이블을 이용해 왔다. 현재 KT가 보유한 광 케이블규모는 67만3783㎞에 달한다. 광케이블이 구축된 도서는 유인 도서 494곳 가운데 57곳(11.5%)이다.


오성목 부사장은 "서해는 수심이 낮고 조류 간만의 차가 심해 광케이블 구축 및 운용이 어렵고 어로 작업, 앵커로 인해 광케이블 절단 등 위험성이 높다"며 "광케이블 이외에 다른 전송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KT는 도서 지역 인터넷 제공을 위해 6~11기가헤르쯔(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기지국을 구축하고 있다. 마이크로웨이브는 우기철 바다 안개(해무)에 따라 전송 품질에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주파수(40MHz)당 전송 용량이 150메가비피에스(Mbps)로 한계가 있었다.


KT는 전송용량을 300Mbps로 확대하고 철탑 높이를 70미터로 올리는 방식으로 마이크로웨이브의 품질을 개선했다. KT는 강화도와 석모도 구간에 처음으로 기가급 마이크로웨이브를 시범 적용했으며 이번에 송도~백령도 구간에도 마이크로웨이브 네트워크를 통해 기가급 인터넷을 제공하게 됐다.


백령도 주민은 광대역 LTE-A의 경우 기존 134Mpbs에서 현재 210Mbps의 속도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인터넷 속도는 82Mbps에서 574Mbps로 개선됐다.


KT, "2019년까지 전국 섬 100%에 기가 인터넷 깐다" 오성목 KT네트워크 부문장이 16일 백령도 면사무소 대피소에서 KT의 위성 광대역 LTE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AD



KT는 또한 재난 재해 발생시 광케이블 절단 및 마이크로웨이브 철탑 붕괴 등에 대비하기 위해 위성을 이용한 광대역 LTE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위성 광대역 LTE는 KT가 보유한 무궁화 5호 위성을 이용해 원거리 LTE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무궁화 5호 위성은 한반도, 일본, 필리핀, 대만, 중국 동부를 커버하고 있으며 2017년 1분기 발사 예정인 무궁화 7호 위성을 이용할 경우 아시아 전역에서 위성 광대역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날 KT는 위성LTE를 이용해 1만2750㎞ 떨어진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와 전화 연결 및 사진 전송 서비스를 시연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KT는 하나의 기지국으로 최대 120㎞까지 안정적으로 통신을 제공하는 4안테나(4T4R) 기술을 백령도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KT 관계자는 "4T4R은 기존 기술 대비 최대 2배, 주파수효율은 최대 150% 향상시킬 수 있다"며 "향후 e-네비게이션 및 공공 안전 통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