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품소비 수입에 의존하는 중동, 韓 식품업계 '봄날' 오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2017년 12억3000만 달러 수출 목표…할랄인증에 나서는 식음료

식품소비 수입에 의존하는 중동, 韓 식품업계 '봄날' 오나 18억 무슬림 입맛 사로잡고 있는 대상의 '마마수카 김'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일 아랍에미리트연합과의 정상회담에서 '할랄(halal)식품'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 한국의 할랄식품 수출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6억8000만 달러던 할랄식품 수출 규모를 2017년 12억3000만 달러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할랄이란 아랍어로 '신이 허용한 것'이란 의미다. 이슬람 율법상 무슬림이 먹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식품·의약품·화장품 등을 총칭한다. 할랄 식품은 이슬람식으로 도축된 소·양·사슴·닭·오리고기와 모든 종류의 과일·채소·곡류가 포함된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할랄식품 확대 계획에 이미 할랄인증을 받은 식음료 제품들이 주목 받고 있다.


대상 청정원은 2011년 2월부터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할랄인증 제품 수출을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총 19개 품목에 대해 할랄인증을 획득했다.

2013년도까지 마요네즈, 김, 유지류 등 총 13개 품목에 대해 인도네시아 할랄 위원회를 통해 MUI 할랄인증을 받았고, 지난해에는 맛소금, 미역 등 6개 품목에 대해 한국무슬림중앙회를 통해 추가했다.


대상의 할랄제품 수출액은 2011년 6억 수준에서 2013년 13억원으로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스낵김 2종의 인기에 힘입어 전년 대비 3배 수준인 34억의 매출을 올리는 등 좋은 성과를 거뒀다.


대상FNF 역시 2009년 종가집 김치에 대해 할랄인증을 받았다. 할랄인증 이후 2009년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2010년부터는 아랍에미리트에 수출을 시작했다. 할랄인증을 받은 제품은 맛김치, 포기김치, 열무김치, 총각김치 총 4종이며 현지인들에게 한국 전통의 매운맛을 보여주고 있다.


아워홈은 지난해 말 조미김에 이어 대표 한식인 김치에 대해서도 이슬람 시장 수출을 위한 국제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아워홈은 향후 유럽, 미주, 중동, 동남아 등 이슬람 시장이 형성된 해외 모든 지역에 할랄 인증 김치를 수출할 계획이다. 김치 외에도 불고기, 떡볶이, 비빔밥, 닭갈비 등 이슬람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한식들의 할랄 인증도 추가 연구를 진행하는 중이다.


이 밖에 농심은 할랄 신라면을 수출하고 있으며, 롯데제과의 꼬깔콘, 내부에 들어가는 돼지기름 추출 젤라틴을 식물 성분으로 대체한 오리온 초코파이도 할랄 인증 식품이다. CJ제일제당의 경우 햇반, 조미김, 김치 등 30개 품목의 할랄 인증을 받았다. 동아원은 국내 제분업체 최초로 말레이시아 정부인증기관(JAKIM)으로부터 할랄 인증을 받았다.


권용석 대상 홍보실장은 "중동은 식품소비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다 식품시장의 확대 속도도 빠른 편"이라며 "할랄식품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상당히 큰 만큼 이번 중동과의 할랄푸드 공조를 계기로 기업들의 할랄인증 작업이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