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부실 당협위원장 소명 기회 부여키로..교체 지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새누리당의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가 지연될 전망이다. 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해당 당협위원장에게 소명 기회를 부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단기간에 결론내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조강특위 관계자는 8일 "교체 대상 당협위원장들이 반발하는데 당연히 얘기를 들어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오는 11일 특위 전체회의에서 소명을 듣는 쪽으로 결정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해당 위원장들도 공개 질의를 통해 김 대표에게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어려움을 무릅쓰고 당을 위해 일했는데 억울한 누명을 해명할 기회를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정면 충돌까지 비화될 정도로 당내 파괴력이 크다.

서 최고위원은 최근 "정당하지 못한 당협위원장 교체는 정치적 살인행위"라며 당무감사를 지시한 김 대표를 정조준해 불만을 쏟아내기도 했다.

새누리당이 소명기회를 부여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이면서 내년 총선에 앞서 추진되던 부실 당협위원장 정비는 당초 계획보다 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내에서는 부실 당협위원장 처리가 친박과 비박 계파 갈등을 다시 촉발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소명을 듣기로 해 봉합이 되는 모양새지만 결국 갈등이 불거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내년 총선에 앞서 조직을 쇄신하려는 김 대표와 기득권을 빼앗길 우려가 있다는 서 최고위원을 포함한 친박계가 맞서는 것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비박계 의원은 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당협위원장 교체 대상이 잘못 선정됐다면 '재조사하라'고 하면 되지, 최고위원회의에서 보고도 받지 않고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강특위는 지난해 당무감사를 벌어 전국 8곳 당협위원회 위원장을 교체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다. 자기 지역 거주하지 않거나 거주해도 활동이 미미한 사항, 총선 떨어진 지역, 총선 나갈 의지가 없는 지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