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뜨는 ‘지역 화폐’ 지는 ‘온누리 상품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가맹점 많고 지역민 정서에 맞아…전통시장서만 쓸수 있어 감소 추세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지역을 살리자는 마음에서 손님들도 지역화폐를 쓰는 건데 고맙죠. 저 역시 손님한테 받은 화폐로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현금으로 환전하면 되니까 꺼릴 이유가 없구요.”


인천 강화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김모(43·여)씨가 현금 대신 지역화폐 ‘강화사랑상품권’을 내보이며 말했다. 강화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는 지난해 12월부터 유통되고 있는데 갈수록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다.

지역화폐가 지역경제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며 인기를 얻고 있다. 국내에 도입된 지역화폐는 50여개. 아직은 전국적으로 일반화 단계는 아니지만 민간 주도에서 차츰 지자체가 관심을 보이면서 일부 지역에선 신선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전국 단위의 전통시장상품권 활용이 낮아지는 추세와는 대조적이다.


특히 지역화폐는 전통시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온누리 상품권과 달리 다양한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한데다, 소득이 외지로 빠져나가지 않고 해당 지역 내에서 순환됨으로써 2·3차 소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강화 지역화폐는 전통시장은 물론 음식점, 주유소, 슈퍼마켓, 이·미용실 등 1400여개에 달하는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소비자는 3% 할인된 금액으로 지역화폐를 구입할 수 있다. 이에 개인 구매율이 60%를 넘을 정도로 지역화폐에 대한 지역민의 호응이 크다.


인천시 10개 군·구 가운데 처음 지역화폐를 발행한 강화군은 2개여월만에 1차 발행분 5억원어치를 모두 소진했다. 지난해 12월1일 지역화폐 강화사랑상품권을 도입한 이후 지난 17일까지 판매액은 6억6900만원에 달했다. 이같은 여세를 몰아 강화군은 지난달 말 미리 발행해놓은 2차분 10억원 어치를 추가 공급했다.


강화군 관계자는 “대형마트와 인터넷 쇼핑몰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상가와 골목상권을 살리자는 취지와 함께 사용처가 폭넓다보니 지역사회에서 공감을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에서도 지역화폐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민간단체 한밭레츠가 운영하는 ‘두루’는 회원간 노동과 물품거래뿐 만 아니라 세탁소, 사진관, 학원 등지로 가맹점을 확대 중이다. 특히 한밭레츠는 지역의료단체인 민들레생협과 제휴해 일반병원, 치과, 한의원, 건강검진센터에서도 지역화폐를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 경기 수원에서도 100여명의 주민들이 수원시민화폐를 지난해 9월부터 시범운영하고 있고 강원도도 지역화폐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화폐가 마을공동체나 지역주민들의 끈끈한 정이 기반이 돼 호응을 얻고있는 반면 전통시장상품권은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현금을 대신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같은 목표를 내걸었지만 퇴조현상이 역력하다.


발행 첫해인 2009년 105억원어치가 팔린 이후 2010년 753억원, 2011년 2224억원, 2012년 4257억7000만원으로 급성장세를 보이다 2013년 판매액이 3257억8000만원으로 뚝 떨어졌다. 이는 경기침체 등을 이유로 대기업의 구매가 크게 줄어든 탓이다.


전통시장 상품권은 작년에 4801억으로 다시 판매액이 늘긴했으나 정부가 경기부양용으로 내민 10% 할인판매에 따른 반짝효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관련업계에서는 상품권의 활용처와 함께 구매주체의 문제를 지적한다. 전통시장상품권은 대기업과 공공기관 구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공무원들은 복지포인트의 10%를 전통시장상품권으로 의무 구입하게 돼 있는데 소비자 개개인의 측면에서 보면 구매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지역축제들이 활기를 띠면서 용처가 다양한 지역화폐를 선호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