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피난민 쏟아져…전세 도미노 수도권까지
1월에 전셋값이 이렇게 기승을 부린 적은 없었다. 소득증가분보다 전셋값 상승 폭이 크다 보니 가처분소득 감소로 국가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서울 전셋값은 2009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매물을 찾기 힘들 정도로 전세물건이 줄어들고 동시에 전셋값이 뛰는 이유는 구조적이다. 대체 뭐가 원인인지 4개의 포인트로 정리해봤다.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재건축과 재개발 등으로 멸실되는 주택이 집중되면서 전세난이 가중되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재건축ㆍ재개발로 이주 예정인 주택이 무려 5만80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1만7000가구)와 비교하면 무려 3배 이상 늘어난 물량이다. 이사를 가야할 중산층 서민이 급증하면서 전세금 상승폭을 키우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된다.
강동구 고덕주공 4단지는 최근 이주를 시작했고, 인근 주공 2단지는 3월부터 이주한다. 이로 인해 일대에서는 전세난이 심해지면서 최근 한 달 새 전셋값이 최고 2000만~3000만원 정도 올랐다.
서울시와 강동구청에 따르면 올해 강동구 고덕동 일대 고덕지구에서만 8000여가구가 이주에 들어간다. 강동구 전체 재건축 이주 예정 가구 수는 1만372가구다. 강동구 둔촌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주공 4단지가 이주를 시작하면서 지난해 말부터 전세는 씨가 말랐다"고 전했다.
재건축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지난해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마치고 올 상반기 이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개포 주공2단지(1400가구)와 송파구 가락시영(6600가구) 역시 관리처분계획을 거쳐 이주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주 예정 물량은 강남구의 재건축 5335가구, 서초구의 재건축 3608가구, 송파구의 재건축 495가구·재개발 2118가구 등 강남3구에서 총 1만1556가구에 달한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부동산3법 통과로 재건축 사업성이 좋아지면서 추진속도에 탄력이 붙었다"며 "통상적으로 사업시행인가 이후 1년 이내에 이주가 가능한데 서울시의 경우 이런 단지가 5만8000여가구에 달한다"고 말했다.
관련 업계는 이주 시기가 닥치기 6개월여 전부터 전세물량을 찾는 수요가 급증한다며 한겨울 전셋값 상승세가 나타난 이유를 찾고 있다. 무엇보다 서울 강남지역의 전세불안이 수도권으로 파급되는 '풍선효과'를 불러오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실제 지난 11일 기준 분당 야탑동 장미현대 92㎡, 103㎡ 등 인기 주택형은 각각 1000만원, 2000만원 상승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명동PB스타센터 부동산팀장은 "이주 수요에 비해 공급물량이 부족한 탓에 재건축 단지가 몰린 강남구와 강동구는 물론 신도시 등 수도권 전체로 전셋값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