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하나금융 정규직화 좋은 선례 만들기를

시계아이콘01분 02초 소요

하나금융그룹이 외환은행(1957명)과 하나은행(1360명)의 무기 계약직 3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나금융의 외환은 인수 이후 노사가 합의한 정규직 전환 약속을 지키라는 노조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하나ㆍ외환은행의 조기 통합을 위한 조처로 보이지만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뜨거운 현안인 만큼 의미가 크다.


사측의 수용에도 하나금융그룹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은 진통을 겪고 있다. 전환시기 및 대상 등에 대한 노사 간 이견이 크기 때문이다. 노조는 계약직 전원을 즉시 6급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5급 자동 승진 등 급여와 승진 규정도 정규직과 똑같이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사측은 통합 1개월 이내에 일부 부적격자를 걸러낸 뒤 전환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급여 수준도 현 상태를 유지하고 승진 역시 심사를 통해 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규직 전환에 뜻을 모으고도 대치하는 노사의 모습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지난함을 실감한다. 노조는 약속대로 조건없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라고 주장한다. 그 같은 조건없는 대규모 정규직 전환에는 상당한 재원이 소요된다. 신규 인력의 채용에도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실제 하나금융은 노조 요구대로 하면 첫해 74억원, 매년 570억원의 추가 인건비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 10년 동안 채용할 직원을 한꺼번에 뽑는 셈으로 당분간 신입직원 채용도 줄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미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우리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등이 복지는 정규직과 동일하게 하되 별도의 직급, 직군을 두어 기존 정규직과 급여 및 승진 체계를 달리 한 것은 이 때문이다.


비정규직 문제는 사측뿐 아니라 노조도 양보를 해야 풀 수 있다. '정규직으로 전환해도 여전히 차별을 받는다'고 반대만 할 게 아니라 '고용 안정'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급여나 승진 등 구조적인 문제는 머리를 맞대고 단계적으로 풀어가는 지혜를 발휘하는 게 순리다. 사측도 노사 합의 정신을 살릴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찾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비정규직 문제를 놓고 논쟁이 뜨겁다. 정부가 개선방안을 내놓았으나 비판의 소리가 높다. 하나금융그룹의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내놓는다면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