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최근 광주 자동차 전용 국가산단 조성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실시키로 최종 결정
박 대통령 대선 공약 '100만대 자동차 도시', 지역살리기 등 명분
인건비, 노무, 환율, 해외판매 비중 등 고려 시 실리는 '글쎄'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현대기아자동차가 '광주공장 딜레마'에 빠졌다. 박근혜 대통령 대선 공약인 '100만대 자동차 생산기지' 프로젝트 시행 첫해(2015년)를 한 달여 앞두고 기아차 광주 4공장 건설을 기대하는 정부ㆍ지방자치단체와 회사 실리 사이에서 선택의 기로에 놓인 것이다. '명분을 따르느냐, 실리를 찾느냐'에 대한 고민이다.
11일 정부 및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8일 재정사업평가자문회의를 열어 광주 빛그린 국가산업단지를 자동차 산업밸리로 조성하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키로 최종 확정했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개발연구원(KDI) 중 한 곳을 통해 이달 중 시작된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세제 혜택, 부지 무상제공 등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절차다. 동시에 정부, 지자체, 기아차 3자 간 공장 건설을 위한 물밑 협상도 이뤄진다. 총 사업비 8347억원 규모인 빛그린산단 프로젝트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6년 간 진행된다. 테마는 자동차 전용 국가산단 조성이다.
정부 관계자는 "예비타당성 대상사업 검토가 국회 예산안 심사 지연으로 1개월여 정도 늦어졌지만 최근 결정났다"며 "결국, 산단 조성 성공을 위한 관건은 기아차의 추가공장 건설 결정인데 정부, 지자체 차원에서 공장 건설을 독려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산 60만대 생산능력을 보유한 기아차 광주공장은 현재 총 3개의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박 대통령 대선 공약인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을 위해서는 40만대 생산규모의 4공장 건설이 필요하다. 4공장 건설 결정이 내려질 경우 현대기아차로서는 1996년 현대차 아산공장 이후 20여년만의 첫 국내공장 건설이다.
하지만 실리 측면에서는 얻을 게 없다는 게 업계 평가다. 인건비, 노무 이슈, 환율, 글로벌 생산 트렌드 등을 감안할 때 국내공장 추가 건설은 손익 측면에서 기아차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멕시코에 1조원을 투자, 연산 30만대 공장을 건설키로 결정한 것도 국내공장 건설에 부담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공장은 (기아차 슬로바키아 질리나 공장, 중국 옌청 공장 등) 해외공장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높고, 파업으로 인한 생산중단 등의 부담이 클 수 있다"며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지 생산이 글로벌 트렌드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공장 추가건설은 여러모로 (기아차에게) 부담일 것"이라고 전했다.
기아차의 글로벌 판매비중과 생산비중 간 괴리율이 크다는 점도 국내공장 건설의 큰 장애물이다. 기아차의 올해 1~11월 누적 기준 총 판매대수 275만8840대 중 해외 판매 비중은 84.9%(234만1658대)다. 반면 같은 기간 기아차의 해외 생산비중은 44.5%(122만6344대)다. 판매비중의 절반 수준으로, 해외생산 확대 필요성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슬로바키아 1공장, 중국 3공장, 미국 1공장 등 총 3곳에 5개의 글로벌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인 기아차는 국내에 소하리 2공장, 화성 2공장, 광주 3공장 등 8개의 공장을 두고 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