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우리은행의 경영권 매각 작업이 결국 무산됐다. 앞서 세 차례 실패했던 우리금융 민영화는 이번 네 번째 시도에서도 은행 매각을 매듭짓지 못했다. 다만 소수지분 입찰에는 콜옵션 행사분을 제외하고 총 23.76%의 물량(매각대상 지분의 132%)이 접수됐다.
28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가 마감인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 예비입찰에는 중국 안방보험만 참여했다.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유찰된 것이다. 이번 경영권 매각 무산은 예상된 결과였다.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혔던 교보생명은 막판까지 참여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다가 결국 입찰 의사를 접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우리은행 지분인수 타당성에 대해 해외공동투자자 및 컨설팅사와 검토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이번 인수 참여를 유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교보생명은 신창재 회장이 지분 34%를 가진 개인 최대주주라는 점 때문에 금융당국 등이 은행 인수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다. 보험업법상 교보생명이 우리은행 인수를 위해 직접 조달 가능한 자금이 자산의 3%에 그쳐 투자자를 모아야 했다는 점도 선뜻 인수에 나서는 데 걸림돌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입찰에는 중국 안방보험이 참여해 교보생명이 뛰어들었다면 유효경쟁이 성립될 수 있었다. 생명보험, 자산관리 등 종합보험금융 업무를 하는 안방보험은 자산만 7000억위안에 달하는 중국의 대형 종합보험사다. 최근 뉴욕 맨해튼 랜드마크인 월도프 아스토리아호텔을 19억5000만달러에 인수하는 등 자금력을 과시한 바 있다.
하지만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우리은행 민영화는 네 번째 실패에 직면하게 됐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은행을 포함한 우리금융지주를 총 3차례 매각하려고 했지만 매번 실패했다. 우리은행 민영화의 역사는 1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는 2001년 4월 약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지원하고 우리금융지주의 지분 100%를 취득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공모 및 블록세일 등으로 일부 지분을 매각해 지난해까지 5조8000억원(회수율 45%)을 회수했다. 남은 지분 56.97%를 쪼개 이번에 30%는 경영권 지분 일반경쟁입찰로, 나머지 26.97%를 소수지분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할 계획이었다.
정부는 이번에 민영화 과정에 분리매각이라는 카드를 꺼냈고 지금까지 지방 은행계열과 증권계열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새 주인을 찾았지만 결국 가장 큰 난관으로 여겼던 우리은행 매각에서 발목이 잡히게 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후 우리은행 매각계획을 다시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내달초 회의를 열어 후속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신제윤 위원장이 직을 걸고 추진하겠다는 매각 계획이 결론을 내지 못하면서 정부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영권 매각은 무산됐지만 소수지분 예비 입찰은 성공을 거뒀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소수지분 입찰에는 콜옵션 행사분을 제외하고 총 23.76%의 물량(매각대상 지분의 132%)이 접수됐다. 콜옵션을 제외한 매각 목표량은 약 18%다. 우선 우리은행 우리사주조합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사주 2700만주(발행주식의 4%) 청약을 모집해 이번 소수지분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약 가능한 임직원 1만3000여명이 약 3000억원 가량의 우리사주 청약을 접수한 것이다. 우리은행은 이 밖에도 거래기업이나 사모펀드 등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득해 이날 매각 목표량을 채운 것으로 보인다.
소수지분 매각이 성공하자 무리해서 지분 30%의 경영권을 매각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은행에 꼭 주인을 찾아줘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30% 이상을 가져가는 지배 주주가 없더라도 10% 미만 지분을 인수한 과점주주들이 각각 사외이사를 파견해 경영을 견제하면 보다 건전하고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