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최근 세계 전역에서 기업들이 투자보다 사내 유보를 늘리는 데 급급한 가운데 아시아, 그중에서도 특히 한국과 일본 기업이 심해 양국 정치권의 고민만 깊어 가고 있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일본 기업의 유보금이 2조1000억달러(약 2217조6000억원), 한국 기업의 경우 4400억달러에 이른다며 유보금 사용을 위한 양국 정치권의 노력도 소개했다.
일본의 경우 기업 유보금은 국내총생산(GDP)의 44%, 한국은 34%에 상당하는 막대한 규모다. 언론으로부터 너무 많다고 계속 지적받고 있는 미국 기업의 유보금은 1조9000억달러로 GDP의 11%에 불과하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위기에 대응한다는 논리 아래 쌓아둔 것이지만 투자대상이 과거보다 크게 준 탓도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동아시아 국가들 기업이 쌓아놓고 있는 현금의 절반만 지출해도 세계의 GDP가 2% 늘 것으로 추정했다.
해법은 간단하다. 투자나 주주배당을 늘리면 된다. 외국인 투자자의 시선으로 보면 한국과 일본 기업은 주주배당에 매우 인색하다. 한국 코스피 상장사의 배당수익률은 1.2%로 세계 주요 경제국 가운데 매우 짠 편이다. 일본은 주요 7개국(G7) 중 배당이 가장 낮다.
경기침체에 시달려온 한국과 일본의 정치권이 소비증진 차원에서 기업을 압박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엔화 약세 유도 이후 기업에 임금인상을 촉구했다. 한국의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기업 유보금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세제 조치에 나서겠다고 압박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과 일본 기업 경영진들에게 배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디에 쓸지 몰라 돈을 쌓아놓느니 기업 주인인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게 맞다는 논리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의 정책보다 최 부총리의 정책이 덜 세련됐다고 꼬집었다.
일례로 삼성이 왜 베트남 대신 한국에 휴대전화 공장을 지어야 하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영체제가 폐쇄적인 재벌 기업에 대한 외부 주주의 역할을 강화하고 금융시장을 공개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훈수했다.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