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석촌지하차도, 부피 '1400㎥ 동공' 그 많던 흙은 어디로 사라졌나

시계아이콘01분 2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석촌지하차도, 부피 '1400㎥ 동공' 그 많던 흙은 어디로 사라졌나 지난 5일 발생한 석촌동 '싱크홀'(사진출처 = YTN 뉴스 캡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석촌지하차도 '1400㎥ 동공' 그 많던 흙은 어디로 사라졌나

서울 석촌지하차도 지하에서 길이가 80m에 이르는 거대 동공이 발견된 가운데 문제의 공간을 메우고 있었던 흙이 어디로 사라졌는지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동공의 크기는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로, 엄청난 양의 흙이 감쪽같이 사라져버렸다.

17일 서울시 조사단의 1차 조사결과 발표에 의하면 이 동공의 부피는 1400㎥로 추정되고 공간을 메우려면 15t 덤프트럭 140대 분량의 흙이 필요하다.


조사단은 이 동공이 자연 발생이 아니라 지하철 9호선 3단계 터널 공사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따라서 동공 주변에서 공사가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부터 흙이 어디론가 빠져나갔을 것으로 보인다.


흙의 이동 경로와 관련해 조사단은 일단 흙이 공사 중인 터널로 들어갔고 이후 지상으로 배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석촌지하차도 아래서 실드(Shield) 공법으로 터널을 뚫었는데, 이 과정에서 지반이 약해졌고 지하수와 뒤섞인 흙이 밑으로 흘러가다 공사 중이던 터널 안으로 들어갔다는 추정이다.


시공사는 터널을 뚫으면서 나오는 흙을 지상으로 정기적으로 배출해야 한다. 이때 비정상적으로 유입된 흙도 함께 내보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실드 공법은 원통형 기계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고들어가는 방법인데 굴 표면에서 그라우팅(틈새를 메우기)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지하수와 흙이 침투하게 되고 주변의 지반도 크게 약해진다.


조사단은 동공이 생긴 곳은 충적층(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연약지반)으로 터널 공사가 매우 세심하게 진행돼야 하는 구간이라고 설명했다.


이 가설을 증명하려면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됐을 때 나오는 흙의 양과 실제 굴착한 흙의 양을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시공사가 작성한 서류만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상태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변 상하수도관에서 누수가 없었기 때문에 흙은 지하철 터널을 통해 밖으로 나갔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며 “흙이 얼마나 사라졌는지, 이 흙이 지하수와 만났을 때 부피가 어떻게 커졌을지, 배출은 얼마나 됐는지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중에서는 흙이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폐관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수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동공 주변에는 지금은 더 이상 쓰지 않는 상하수도관 등의 폐관이 묻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고려하지 않고 공사를 진행하다 폐관이 훼손됐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흙이 빠져나갔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흙의 이동 경로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원인 조사를 위해 석촌지하차도의 차량 통행을 완전히 중단시켰으며 현재 아스팔트에서 작은 구멍을 뚫는 시추 조사를 통해 또 다른 동공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중이다.


한편 서울시는 앞서 지난 5일, 석촌지하차도 입구에서는 폭 2.5m, 깊이 5m, 연장 8m의 싱크홀을 발견했으며 지난 13일에는 지하차도 중심부에서 거대 동공을 추가로 발견했다.






온라인이슈팀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