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스크 칼럼]자본시장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시계아이콘01분 35초 소요

[데스크 칼럼]자본시장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김종수 증권부장
AD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로다(To be or not to be, That is a question).'


영국의 극작가 세익스피어가 쓴 비극, 햄릿에 나오는 명대사 만큼 2014년을 살고 있는 증권맨들은 선택하기 힘든 갈림길에 서있다.

현대증권 등 인수합병(M&A)을 앞둔 증권사들이 아직 구조조정의 칼날을 뽑아들지 않았지만 작은 소문에도 증권맨들은 가슴을 쓸어내린다. 누군가는 또 여의도를 떠나야 한다. 회사는 생존을 위해 희망퇴직을 단행해야 하고 증권맨들은 일정의 위로금을 지급받고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여의도 증권가에서 구조조정은 일상화됐다. 올 상반기에만 6개 증권사에서 2000여명의 직원이 회사를 떠났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 전체 임직원의 5% 규모다. 한 해에 증권사 임직원이 2000명 이상 줄어든 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2876명이 줄어든 1997년, 카드채 사태 여파로 2003년과 2004년 각각 2920명과 2650명이 줄어든 이후 처음이다.

2003년 12월 정부는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새로운 성장동력 확충과 서비스업 강국으로서의 여건 마련을 위해 금융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였다. 금융허브 구축을 위해 7대 과제를 선정하고 2020년까지 대한민국을 아시아 3대 금융허브 중 하나로 육성하겠다는 큰 그림을 그렸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의 동북아허브 전략은 만족할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정부가 '아시아의 금융허브', '한국의 골드만삭스'라는 거창한 목표를 내걸고 주목했던 투자금융의 중심지 여의도에는 이제 구조조정 루머만이 흉흉하다.


이제 증권업은 사양산업이 돼 버린걸까. 증시 거래대금은 최근 3년 연속 쪼그라들었다. 국내 증시의 성장성이 둔화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스피시장의 올 상반기 하루평균 거래대금은 3조7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1% 줄었고 코스닥시장 역시 2.53% 감소한 1조7772억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코스피시장에서 하루 평균 6조8631억원, 코스닥시장에서 2조2500억원이나 거래됐다.


증권사들의 실적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한국금융지주와 KDB대우증권ㆍ우리투자증권ㆍ삼성증권ㆍ미래에셋증권ㆍ키움증권 등 5개 증권사의 2분기 합산 순이익은 전 분기보다 40.2% 감소한 1183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8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국회 청문회에서 내수와 민생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규제를 최소화하는 등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삼성전자의 '실적 충격'(어닝 쇼크)에도 불구하고 전 거래일보다 0.08% 오른 2006.66으로 마감하며 최 후보자에 화답했다. 더 늦기 전에 자본시장의 활로를 뚫어 달라는 간절한 주문이기도 하다.


솔로몬의 지혜를 만들어가는 것은 원칙에 충실하면 된다. 햄릿의 고뇌처럼 선택이 복잡하지도 않다. 실물경제와 함께 예금ㆍ대출을 통해 자금이 흐르는 간접금융시장과 증권의 매수ㆍ발행을 통해 돈이 도는 직접금융시장이 모두 건전성을 유지하면 경제는 활력을 찾고 회복이 가능해진다.


그럴려면 규제 혁파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자본시장에는 파생상품시장 진입 장벽과 높은 수준의 증권거래세, 증권사의 외국환 거래 제한 등 곳곳에 '손톱 밑 가시'가 산재해 있다. 일부 정부 당국자와 국회의원 등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을 여전히 경제 펀더멘털을 훼손하는 세력쯤으로 바라보는 건 걱정스럽다.


투자자의 안전이나 증시의 건전성을 지키기 위한 규제는 강화하되,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는 하루빨리 없애야 한다. 부가가치가 높은 금융투자업계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도 경제를 살리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실물경제와 자본시장이 모두 제자리를 찾으면서 크게 발전하기를 국민 모두가 바라고 있다.






김종수 증권부장 kjs33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