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가구 이상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확대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급성 심근경색으로 주변인 중 누군가 쓰러졌을 때 가장 먼저 취해야할 조치사항은 심장 압박 즉, ‘내 손안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이다.
지난 10일 밤 S그룹의 모 회장이 호흡곤란 증세로 긴급히 인근병원 응급실에 이송됐을 때에도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장 박동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 만큼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살리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심폐소생술과 함께 중요한 ‘생존사슬’은 바로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통한 응급처치와 의료진의 효과적인 전문소생술이다.
그러나 만약 심폐소생술 도중에 자동제세동기가 없다면 있다 하더라도 고장이 나 있다면 생존을 위한 사슬이 끊겨 소중한 한 사람의 생명은 위협받을 것이다.
노원구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 의무 지역에 확대 설치, 일제 점검을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겠다고 27일 밝혔다.
응급장비 구비의무 대상은 ▲공공청사 ▲공공보건기관 ▲구급차 ▲지하철 역사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이다.
공공청사와 공공보건기관, 구급차, 지하철 역사에는 설치율이 100%인 점을 감안, 구는 우선 응급장비 구비의무 대상 지역 가운데 하나인 ‘50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 자동심장충격기를 확대 설치한다.
50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는 현재 347대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돼 있는 상황으로 구는 미설치 공동주택 45개소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또 쇼핑몰, 식품접객업소와 같은 다중이용시설에도 설치 권장 안내문을 발송해 응급상황 발생 시 초동적인 대처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구는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일제점검’을 통해 어떤 비상 상황에서도 오작동, 미작동으로 인한 돌발 변수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구는 지난 4월부터 5월 중순까지 한 달 보름에 걸쳐 자동심장충격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별 자체 점검에 이어 다음달 30일까지 자체 점검표를 제출하지 않은 기관에 대해 노원구 CPR 지도자(15개조 31명)를 활용해 권역별 방문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점검 분야는 ▲관리자 지정 여부 ▲보관함 상 기기 위치안내와 비상연락망 표시 여부 ▲자동심장충격기 작동 여부 ▲배터리 표시상태 ▲본체 및 패드, 배터리 유효기간 ▲매뉴얼 등 부속품 구비 여부 등 19개 분야다.
일제 점검 후에는 노원구 전체에 소재한 자동심장충격기를 대상으로 3개월에 1회씩 보유기관별 자체점검을 실시함과 동시에 설치의무 기관대표자를 정·부 책임자로 지정해 시설물 관리에 대한 책임성도 강화한다.
김정민 의약과장은 “심폐소생술의 사회적 공감대와 기반이 구축,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급률이 늘어나는 추세에 실제 사용율을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면서 “정기적 점검과 책임관리자 지정 등을 통해 심정지 환자 발생 시 골든 타임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가 실시하고 있는 심폐소생술 교육은 평일 하루 3차례 어린이, 학생, 성인 및 가족, 단체 등 각계각층의 주민들을 위해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토요일은 물론 수요일 야간교육까지 진행되고 있어 교육을 원하는 주민들의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구는 지난 2012년5월 심폐소생술 교육장 개장 이후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한 결과 2012년에는 1만7400여명이, 지난 해에는 1만8340여명 등 총 3만5740여명이 교육을 이수 받았다고 밝혔다.
또 2012년 노원구의 일반 시민이 자동제세동기 사용 및 심폐소생술을 한 건수는 26건으로 전체 중 11.8%였으며, 이는 전국 평균 6.5%의 두배 가까이 된다고 설명했다.
올 5월 현재 서울시에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는 모두 3260대로 이 가운데 노원구는 545대가 설치(16.7%) 돼 있어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돼 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