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동주택공시]'4·1대책 효과' 가격 상승 반전…전년비 0.4%↑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3초

[공동주택공시]'4·1대책 효과' 가격 상승 반전…전년비 0.4%↑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AD


수도권은 0.7% 하락 vs 광역시 2.9%·시군 2.6% 올라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형과 소형 간 시장분화 뚜렷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평균 0.4% 올랐다. 지난해 4.1% 하락한 것과 비교해 소폭 상승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1 대책 등 정부가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추진하면서 수도권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진정되고 주택거래량이 증가한 것에 기인했다. 이번 공동주택 가격공시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고가와 저가, 대형과 소형 간의 시장분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126만채의 2014년 1월1일 기준 공동주택 가격을 29일 공시했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수도권에서 0.7% 하락했고, 광역시(인천 제외)에서 2.9%, 시·군에서 2.6% 상승해 전국 평균 0.4%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0.7% 하락했고, 광역시(인천 제외)와 시·군지역에서는 각각 2.9%, 2.6% 상승했다. 수도권 지역은 정부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세가 진정된 반면, 광역시와 시·군 지역은 개발호재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변동률은 대구(10.0%), 경북(9.1%), 세종(5.9%), 충남(5.1%), 광주(4.7%) 등 10개 시·도가 상승한 반면 서울(-0.9%), 경기(-0.6%), 부산(-0.5%), 전남(-0.4%), 전북(-0.2%) 등 7개 시·도는 하락했다.


가격공시대상 공동주택 가구수의 53%, 공시가격 총액의 67%를 점하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0.9%), 경기(-0.6%), 인천(-0.2%) 지역이 가격변동률 하위 1위, 2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도시지역내 용산국제업무지구 등의 재건축·재개발사업 추진 부진, 수도권 신도시지역인 동탄·파주운정·송도 등의 계속된 주택공급이 하락요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구(10.0%), 경북(9.1%), 세종(5.9%) 등은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개발사업 등 시행에 따른 주거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승한 시군구 중에서 대구 달성군이 최고 상승률(14.7%)을 기록했고, 대구 북구(13.8%), 경북 구미시(13.0%), 대구 달서구(12.0%), 경북 칠곡군(11.8%) 순으로 대구, 경북지역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하락한 시군구 중에서는 부산 강서구(8.1%)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경기 고양 일산서구(7.6%), 서울 용산구(6.3%), 경기 파주시(5.5%), 서울 영등포구(4.3%) 순으로 부산과 수도권 지역이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의 가격변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가 5.9% 상승했다. 혁신도시는 평균 0.7% 상승해 전국 평균(0.4%)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중 대구 동구 11.5%, 전남 나주 6.3%, 전북 완주 4.8%, 충북 진천 3.5%, 충북 음성 2.7% 순으로 9개 도시가 상승했다. 반면 부산 남구 -2.3%, 부산 해운대 -1.3%, 전북 전주 -0.7%, 부산 영도 -0.7%, 경남 진주 -0.3%로 5개 도시가 하락했다.


가격별로는 5000만원 이하 주택은 2.8% 상승했고, 6억원 초과 주택은 0.8% 하락했다. 2억원 이하 주택은 1.4~3.1% 상승했으나, 2억원 초과 주택은 0.4~1.8% 하락하는 등 고가주택의 하락률이 컸다.


이런 현상은 최근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데 세금과 관리비 등 유지비 증가에 따른 대형주택의 선호도 감소, 처분이 상대적으로 쉬운 소형주택으로의 수요 이동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저가 주택은 가격변동이 비교적 안정적인 반면 고가 주택은 경기변동에 따라 가격의 변동이 민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공동주택공시]'4·1대책 효과' 가격 상승 반전…전년비 0.4%↑ 연도별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공시대상 공동주택 1125만7033가구 중 3억원 이하는 1018만3615가구(90.5%), 3억원 초과 6억원 이하는 89만4606가구(7.9%),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는 13만1033가구(1.2%), 9억원 초과는 4만7779가구(0.4%)로 나타났다.


6억원 이하 공동주택은 1107만8221가구로 전체의 98.4%이며 고가·중대형주택의 가격하락 영향으로 전년대비 증가했다.


주택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이하 주택은 0.9~2.2% 상승했으나 85㎡초과 주택은 0.8%~2.6% 하락하는 등 규모에 따라 변동방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50㎡ 이하 주택은 1.5% 상승했고, 135㎡ 초과 주택 2.5% 하락해 각각 가격 변동이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현상은 노령화 등 인구구성 변화,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1인 가구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주택가격 공시제도가 도입된 이래 소형 주택에 비해 대형 주택의 가격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85㎡이하가 970만5043가구(86.2%), 85㎡초과 165㎡이하가 146만2047가구(13%), 165㎡초과는 8만9943가구(0.8%)로 나타났다.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시·군·구청장 공시)도 같은날 공시했다.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은 전국 평균 전년대비 3.7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동주택공시]'4·1대책 효과' 가격 상승 반전…전년비 0.4%↑ 시도별 공시가격 변동률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