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차별이 부른 직장인 임금 양극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연간 총급여가 1억원이 넘는 고액 연봉자가 크게 늘어났다. 금융감독원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연봉 1억원이 넘는 직장인은 2012년 기준 41만5475명이다. 2008년 19만4939명보다 113.1% 증가했다. 비중도 전체 연말정산 신청자의 1.4%에서 2.6%로 1.2%포인트나 늘었다. 상장사 등기임원 연봉 개별공시 기준인 5억원 초과 직장인 역시 2008년 4239명에서 2012년 6098명으로 늘었다.


연봉을 많이 받는 직장인이 늘어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산업과 기업이 발전하고, 노력에 상응한 대가를 받는다는 근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반대편의 그늘도 짙다는 사실이다. 고액 연봉자가 증가하는 동안 총급여 3000만원이 안 되는 저임금 근로자도 2008년 976만9210명에서 2012년 1016만159명으로 4.0% 증가했다. 직장인의 임금소득 양극화가 깊어지는 추세다. 많은 저임금 직장인들은 최근 5억원 이상 임원의 연봉 공개를 보면서 자괴감이 들었을 것이다.

물론 기업은 임직원 연봉을 책정할 때 나름의 기준과 경쟁 원리를 적용한다. 매출액, 영업이익 등 기업마다 경영 환경도 다르다. 하지만 직장인의 임금 양극화가 갈수록 깊어지는 현상을 단순히 기업 내부사정으로만 치부할 일은 아닌 듯하다. 그 배경에는 남녀 간, 학력 간, 직급 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별이 도사리고 있다.


국내 20대 대기업(금융사 제외) 남자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8600만원이다. 여자 직원 평균 연봉 5800만원의 1.47배다. 근속년수도 차이가 크다. 남자는 평균 14.2년, 여자는 8.2년으로 6년의 격차가 있다. 한 취업포털 조사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2362만원, 고졸은 2030만원으로 332만원의 차이가 난다고 한다. 지난해 여성 시간제 일자리 근로자의 36.9%가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했다는 분석도 있다.

직장인 임금 양극화는 사회에 짙게 드리운 또 하나의 그늘이다. 그대로 두면 그 정도는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경제는 성장해도 가계는 가난하고, 사회는 불안해지는 근원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남녀, 학력, 정규ㆍ비정규직을 둘러싼 차별 철폐에 정부와 기업이 함께 나서야 한다. 성장의 과실을 고루 나누는 작업도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