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정부가 나노융합 산업 육성을 위해 '전 주기 나노 연구ㆍ개발(R&D) 연계 협의체'를 구성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로 이원화 돼 있는 나노 R&D를 연계하고 양 부처 소관의 나노 인프라 기관 서비스도 표준화하기로 했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20일 나노 분야에서의 R&D 중복성 제거와 미래부 개발 기술의 산업부 즉시 연계 지원 등을 주요 골자로 한 나노융합 확산 협력 전략을 수립ㆍ발표했다.
R&D 전 주기 협력 강화 외에도 고급 나노 인력을 산업계와 연계해 취업을 지원하고, 양 부처 인프라 및 전문가의 역량을 모아 나노 기업의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나노융합 확산 민관 협력위원회'를 구성해 주기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양 부처는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할 경우 기초 연구부터 상용화까지 소요 기간을 10년에서 8년으로 최대 2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R&D 중복성을 없애는 데 따른 예산 절감 효과는 14~20%에 이를 것이란 예상이다. 내년 이후부터는 연간 200명 이상의 추가 고용 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봤다.
전 세계 나노융합 시장은 연평균 18% 수준으로 성장해 2020년에는 약 2조5000억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권의 나노기술 경쟁력 보유국이다. 국내 나노융합 산업의 생산은 총 92조2854억원으로 제조업 생산의 약 6%를 차지한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부처 간 칸막이로 인해 사업의 연계나 협력이 부족한 탓에 시너지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